▲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자료 살펴보며 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20년대 후반에 원잠 건조를 시작하면 2030년대 중후반에는 선도함 보유가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원종대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원잠 건조에서 핵심 난제였던 연료 확보에 관한 한미간 협의가 진전돼 사업이 추진될 여건이 마련됐다"며 "원잠에 탑재될 원자로, 무장 체계 등 원잠 건조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안전성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재래식 잠수함에 있어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설계, 건조 능력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확보한 핵심 기술과 국가역량을 결집하면 우리 기술로 원잠 건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방부는 원잠 건조를 위한 범정부 태스크포스 구성 추진 계획도 보고했다.
원 실장은 "원잠 건조는 외교적 협의, 기술 검증, 산업 기반 마련 등 다양한 과제가 포함된 대규모 전략무기 사업"이라며 "체계적 추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잠 연료 공급에 관한 구체적 협의를 추진하는 한미 외교, 국방 당국 사이의 실무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정부 역량을 결집해 국가 전략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태스크포스 구성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한미안보협의회의(SCM)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은 피트 헤그세스 미 전쟁부 장관은 한국의 원잠 건조와 보유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헤그세스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한 것을 재확인드린다"며 "당연히 미군 당국은 최선을 다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