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신세계백화점이 본점에 조성한 카페가 서울 대표 미식 장소에 포함됐다.
신세계백화점은 4일 서울 중구 본점 더헤리티지 5층에 있는 카페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이 서울시가 주관하는 ‘2025년 서울미식주간 100선’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서울미식주간 100선은 서울시가 2020년부터 해마다 발표하는 공식 미식 목록이다. 레스토랑·카페&디저트·바 등 7개 부문에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한다.
2일 노들섬 라이브하우스에서 열린 ‘서울미식어워즈’ 시상식에서는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 김준엽 셰프가 대표로 트로피를 받았다. 김 셰프는 전통 병과 전문가 서명환 선생과 3년동안 연구해 현대적 한식 디저트 메뉴 개발을 이끌었다.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은 신세계백화점 한식연구소가 전래 음식 전문가 서명환 셰프, 18대 매월당 티 디렉터 김동현 대표와 협업해 기획한 공간이다.
개장 이후 내부 계획보다 30% 이상 많은 매출을 내며 명동 상권의 새로운 한식 디저트 명소로 자리매김했다고 신세계백화점은 설명했다. 인근 면세점과 호텔 등 서울 주요 관광 거점과 연계해 외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 효과도 노리고 있다.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은 매월 제철 재료를 활용한 ‘계절 다과상’을 선보이고 있다. 7일부터 27일까지는 홍시·햇밤·배·모과 등 제철 재료로 구성한 ‘계절 다과상’을 한정 운영한다.
팥죽도 시즌 한정 메뉴도 함께 준비했다. 수험생들의 합격을 기원하는 찹쌀떡은 7일부터 12일까지 한정 기간 만나볼 수 있다.
한희정 신세계 한식연구소장은 “이번 선정은 한국 전통 다과가 현대적 감각 속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며 “앞으로도 전통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계승해 한국 디저트가 세계 무대에서도 사랑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
												         
													        
															
															
														
																
															
															
																													
															
															
															
														
															
															
															
														
											             
                        
                    신세계백화점은 4일 서울 중구 본점 더헤리티지 5층에 있는 카페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이 서울시가 주관하는 ‘2025년 서울미식주간 100선’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 신세계백화점의 본점에 있는 카페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사진)이 서울미식주간 100선에 선정됐다.
서울미식주간 100선은 서울시가 2020년부터 해마다 발표하는 공식 미식 목록이다. 레스토랑·카페&디저트·바 등 7개 부문에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한다.
2일 노들섬 라이브하우스에서 열린 ‘서울미식어워즈’ 시상식에서는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 김준엽 셰프가 대표로 트로피를 받았다. 김 셰프는 전통 병과 전문가 서명환 선생과 3년동안 연구해 현대적 한식 디저트 메뉴 개발을 이끌었다.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은 신세계백화점 한식연구소가 전래 음식 전문가 서명환 셰프, 18대 매월당 티 디렉터 김동현 대표와 협업해 기획한 공간이다.
개장 이후 내부 계획보다 30% 이상 많은 매출을 내며 명동 상권의 새로운 한식 디저트 명소로 자리매김했다고 신세계백화점은 설명했다. 인근 면세점과 호텔 등 서울 주요 관광 거점과 연계해 외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 효과도 노리고 있다.
하우스오브신세계 디저트살롱은 매월 제철 재료를 활용한 ‘계절 다과상’을 선보이고 있다. 7일부터 27일까지는 홍시·햇밤·배·모과 등 제철 재료로 구성한 ‘계절 다과상’을 한정 운영한다.
팥죽도 시즌 한정 메뉴도 함께 준비했다. 수험생들의 합격을 기원하는 찹쌀떡은 7일부터 12일까지 한정 기간 만나볼 수 있다.
한희정 신세계 한식연구소장은 “이번 선정은 한국 전통 다과가 현대적 감각 속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며 “앞으로도 전통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계승해 한국 디저트가 세계 무대에서도 사랑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