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호석유화학이 생산 공장과 연구소 임직원을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교육을 진행했다.
금호석유화학은 23일 지방 소재 주요 사업장 4곳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2년에 이어 2번째 ‘찾아가는 ESG 아카데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찾아가는 ESG 아카데미는 대전 중앙연구소와 여수고무공장, 울산고무공장, 울산수지공장 등 네 곳에서 진행됐다.
금호석유화학은 본사가 아닌 현장에서 직접 제품을 다루는 생산 공장과 연구소 임직원을 대상으로 물을 비롯한 자연자본 위험요인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은 물론 각 현장 상황을 반영한 전략 방향을 수립할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에서는 △금호석유화학의 자연자본 의존도 및 위험요인 △공업용수 등 물 관련 위험 △세계 지속가능성 규제 동향 △지속할 수 있는 제품개발 필요성 등을 다루며 연구와 생산 단계에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모든 임직원이 지속할 수 있는 경영 가치를 내재화해 각자 현장에서 지속할 수 있는 제품개발을 위한 고민이 필요한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조경래 기자
금호석유화학은 23일 지방 소재 주요 사업장 4곳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2년에 이어 2번째 ‘찾아가는 ESG 아카데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 금호석유화학이 울산수지공장에서 ‘2025 찾아가는 ESG 아카데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
찾아가는 ESG 아카데미는 대전 중앙연구소와 여수고무공장, 울산고무공장, 울산수지공장 등 네 곳에서 진행됐다.
금호석유화학은 본사가 아닌 현장에서 직접 제품을 다루는 생산 공장과 연구소 임직원을 대상으로 물을 비롯한 자연자본 위험요인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은 물론 각 현장 상황을 반영한 전략 방향을 수립할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에서는 △금호석유화학의 자연자본 의존도 및 위험요인 △공업용수 등 물 관련 위험 △세계 지속가능성 규제 동향 △지속할 수 있는 제품개발 필요성 등을 다루며 연구와 생산 단계에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모든 임직원이 지속할 수 있는 경영 가치를 내재화해 각자 현장에서 지속할 수 있는 제품개발을 위한 고민이 필요한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