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과 중국 중심의 인공지능(AI) 대전환에 우려를 표했다.
구 부총리는 23일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 합동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미국이 주도하는 AI가 두 나라만의 리그로 끝난다면 나머지 대부분 나라는 AI, 디지털 소외를 당해야 해서 이에 따른 격차는 큰 문제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인천플랜'을 통해 협력해 격차를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플랜은 디지털 격차 해소와 포용적 성장 방안을 내용으로 한다. △혁신 △금융 △재정정책 △접근성과 기회 등 네 개 주제로 구성돼 있다.
구 부총리는 "주요국 통상정책, AI 기술 패권 경쟁 등 글로벌 질서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인천플랜 채택을 통해 역내 정책 공조와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며 "인천 플랜은 네 가지 주제에 대해 채택이 됐고 향후 5년간은 APEC 회의에서 계속 발전시킬 수 있는 작업이 이뤄진다는 의미가 있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APEC 최초로 재무와 구조 회의가 연계해 개최된 것에 의미를 뒀다.
구 부총리는 "구조를 하나 혁신하는 데는 재정이 뒷받침되고 금융이 뒷받침되는 이슈가 뒤따른다"며 "이번 회의에서는 두 가지를 최초로 연계했다"고 말했다.
이번 재무장관회의에서는 세계와 역내 경제전망, 혁신, 디지털금융, 재정정책 등을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을 토대로 공동성명과 '인천플랜'이 채택됐다
구조개혁장관회의에서는 역내 시장·기업환경 개선, AI 및 디지털 전환 촉진, 경제적 참여 확대를 통한 번영 증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동성명과 두 개의 부속서를 채택했다.
구 부총리는 AI 전환에 있어서 한국의 우위와 다른 나라들의 관심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은 1990년대 말에 초고속망을 깔아놨기 때문에 인터넷 인프라조차도 구축돼 있지 않은 역내 국가에 비해서는 모범이 된 것 같다"며 "그래서 태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한국의 AI 대전환에 대해 굉장히 관심이 높았다"고 말했다. 권석천 기자
구 부총리는 23일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 합동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미국이 주도하는 AI가 두 나라만의 리그로 끝난다면 나머지 대부분 나라는 AI, 디지털 소외를 당해야 해서 이에 따른 격차는 큰 문제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 합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구 부총리는 '인천플랜'을 통해 협력해 격차를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플랜은 디지털 격차 해소와 포용적 성장 방안을 내용으로 한다. △혁신 △금융 △재정정책 △접근성과 기회 등 네 개 주제로 구성돼 있다.
구 부총리는 "주요국 통상정책, AI 기술 패권 경쟁 등 글로벌 질서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인천플랜 채택을 통해 역내 정책 공조와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며 "인천 플랜은 네 가지 주제에 대해 채택이 됐고 향후 5년간은 APEC 회의에서 계속 발전시킬 수 있는 작업이 이뤄진다는 의미가 있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APEC 최초로 재무와 구조 회의가 연계해 개최된 것에 의미를 뒀다.
구 부총리는 "구조를 하나 혁신하는 데는 재정이 뒷받침되고 금융이 뒷받침되는 이슈가 뒤따른다"며 "이번 회의에서는 두 가지를 최초로 연계했다"고 말했다.
이번 재무장관회의에서는 세계와 역내 경제전망, 혁신, 디지털금융, 재정정책 등을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을 토대로 공동성명과 '인천플랜'이 채택됐다
구조개혁장관회의에서는 역내 시장·기업환경 개선, AI 및 디지털 전환 촉진, 경제적 참여 확대를 통한 번영 증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동성명과 두 개의 부속서를 채택했다.
구 부총리는 AI 전환에 있어서 한국의 우위와 다른 나라들의 관심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은 1990년대 말에 초고속망을 깔아놨기 때문에 인터넷 인프라조차도 구축돼 있지 않은 역내 국가에 비해서는 모범이 된 것 같다"며 "그래서 태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한국의 AI 대전환에 대해 굉장히 관심이 높았다"고 말했다. 권석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