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서 기업은행 부당대출 '규모 축소 보고' 논란, 행장 김성태 "숨긴 것 없다"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왼쪽)이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국회 중계방송 갈무리>

[비즈니스포스트]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국정감사에서 882억 원 규모 부당대출 사고 관련 보고에 미흡한 점이 있었다는 질타를 받았다.

김 행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 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금융감독원에 부당대출 규모를 240억 원으로 신고한 이유에 관한 질문을 받고 “일차적으로 서울지역의 감사 결과를 금감원에 보고하는 과정에서 240억 원 정도로 보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업은행 부당대출 규모가) 최종적으로 882억 원이다”며 “그런데 2024년 12월26일 금감원에 신고할 때 240억 원으로 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따져 물은 데 답변한 것이다.

이 의원은 “그러면 240억 원으로 보고하면 안 된다”며 “어떤 계산으로 240억 원이 나왔고 그 뒤 무엇을 더 추가로 조사해 882억 원이 나왔는지 자료를 다시 제출해달라”고 말했다.

기업은행이 부당대출 행위를 파악한 시점과 과정도 은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기업은행은 11월 자체 정기감사로 비위사실을 확인했다고 하는데 금감원에는 8월에 제보가 접수가 됐었다”며 “어떤 게 맞느냐”고 물었다.

이 의원은 “2024년 8월 기업은행 가치경영실에 제보가 된 사안을 그 뒤 정기감사로 적발했다고 하면 그 감사는 급조가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행장은 부당대출 사태 관련 자료 제출을 재차 요구하는 이 의원에게 “검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고 관련인 조사 중이라 자료를 제출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다”며 “저희가 숨기거나 이런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답변했다.

기업은행은 2025년 1월 자제감사를 통해 239억5천만 원 규모 업무상 배임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공시했다. 

다만 같은 해 3월 금감원 발표를 통해 기업은행 부당대출 규모가 애초 공시한 금액보다 훨씬 많은 882억 원 규모로 확인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기업은행 서울 강동구청역 지점 등의 전·현직 직원들이 공모 등을 통해 부동산 담보가치를 부풀리고 사업검토서 자금조달계획을 허위로 작성하는 등 방식으로 부당대출을 실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은행은 그 뒤 임직원 가족 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포함 고강도 내부통제 쇄신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