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M&A를 성사시켜야 합니다. 많이 좀 도와주십시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 인수·합병(M&A)이 성사되지 않으면 어쩔 계획이냐는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
홈플러스 사태 피해자들을 구제할 방법은 새로운 인수자에게 매각하는 것뿐이란 의미다.
사실상 MBK파트너스가 피해자들을 직접 책임지지 않겠다는 것으로, 여전한 책임의식 부재가 드러났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회장의 발언에 “여기(국회)가 MBK의 M&A를 도와주는 곳이나”며 “국회를 향한 모독”이라고 질타했다.
현재 홈플러스는 MBK파트너스의 경영실패로 청산 위기에 놓인 상태다.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낮아, 11월10일까지 인수대상자를 찾지 못하면 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전날 김 회장은 홈플러스 사태 및 롯데카드 보안사고와 관련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 회장은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 사태의 책임을 추궁당할 때마다 ‘자신은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대답만을 거듭해 빈축을 샀다.
김 회장은 올해 4월부터 수차례 국회 출석 요구를 받았으나 같은 이유로 불출석했다.
이번 이례적 출석에서도 실질적으로는 출석하지 않은 것과 다를 바 없었던 셈이다.
김 회장은 ‘사회적 책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홈플러스를 향한 5천억 원 규모 지원을 언급했다.
그는 “5월에 1천억 원을 냈고, 다 사용된 걸로 알고 있다”며 “7월 1500억 원 보증과 9월 2천억 원 현금 증여로 약속해, 다 합쳐서 5천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1500억 원 규모 보증은 홈플러스 청산 뒤 회수가 가능하고, 2천억 원 증여 약속에도 ‘최대 2천억 원’이란 단서가 붙었다.
이날 국정감사에 배석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MBK파트너스의 보통주 소각은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고, 자금 지원 약속들도 큰 의미 없어 보인다’고 비판했다.
김 회장은 롯데카드 관련 질의에도 자신이 관여하는 분야가 아니라며 답변을 피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가 향후 5년 간 정보보호예산 1100억 원어치를 확대하는 계획을 밝혔으나 이 역시 신뢰성에 의문이 남는다.
MBK파트너스는 2022년부터 롯데카드 매각을 추진해왔고, 올해 매각주관사로 UBS를 선정한 뒤 매각 작업에 착수했다.
김 회장이 국정감사에 ‘안 나오느니만 못한’ 형태로 출석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 정치권의 출석요구를 무시하기 어려워지자 어떻게든 하루만 넘겨보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 회장은 국회가 국민을 대리하는 곳이고, 국정감사는 전 국민이 지켜보는 자리임을 간과했다.
국회는 김 회장을 만나 꾸짖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의 책임감 있는 자세를 기대하며 증인으로 불러 세웠다.
김 회장이 직접 참석해 얼굴을 드러내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사회적 책임 이상의 사과와 해결책을 들고 왔어야 했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와 롯데카드를 매각·청산 등으로 자금회수(엑시트)하지 않고 직접 경영으로 책임지는 것이 바람직한 해결책일 것이다.
사모펀드의 본질은 전문적이고 책임감 있는 경영으로 인수한 기업 가치를 높여 다시 판매하는 것이다.
반면 김 회장이 일련의 사태에서 보인 행보는 기업을 싸게 사들여 수익을 편취한 뒤 시장에 던져버리는 ‘약탈적 행위’다.
김 회장과 MBK파트너스가 이 같은 행위에 책임지지 않는다면 ‘기업 사냥꾼’이라는 이미지가 더욱 고착화 될 것이다.
국회와 금융당국은 홈플러스, 롯데카드, 고려아연 등 MBK파트너스 관련 사안을 집중적으로 살피겠다고 나선 상태다. MBK파트너스의 한국시장 참여를 제한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회생 과정에서 상환전환우선주(RCPS) 상환권 변경을 진행하며 국민연금에 9천억 원가량 손실을 끼쳤던 데 따른 것이다.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게 한국은 중요한 시장이고, 한국시장에서의 퇴출은 홈플러스 관련 손실보다 더 아프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김 회장과 MBK파트너스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고발당한 상태다.
MBK파트너스 본사는 물론 김 회장의 자택도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기도 했다.
만약 김 회장의 혐의가 구체화될 경우 사법적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김 회장이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만 수사·재판 과정에서 정상참작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날 오전 11시 국회 정문 앞에서는 홈플러스 피해자단체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한 입점 점주 피해자는 이 자리에서 “원상복구 비용 1700만 원이 없어 홈플러스에서 퇴점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것은 국민들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김병주 회장은 사재를 출연해서 구제하겠다는 새빨간 거짓말을 멈추고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2025년 4월 기준 재산 98억 달러(약 14조 원)을 보유한 한국계 부호 1위 자산가다.
그러나 평범한 국민의 삶을 짓밟고 책임지지 않는 그를 어떻게 부자라고 부를 수 있을까. 박재용 기자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 인수·합병(M&A)이 성사되지 않으면 어쩔 계획이냐는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
![[기자의눈] '사회적 공감' 능력 의심케 한 국감장의 MBK 김병주](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10/20251014204943_136396.jpg)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오른쪽)과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겸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홈플러스 사태 피해자들을 구제할 방법은 새로운 인수자에게 매각하는 것뿐이란 의미다.
사실상 MBK파트너스가 피해자들을 직접 책임지지 않겠다는 것으로, 여전한 책임의식 부재가 드러났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회장의 발언에 “여기(국회)가 MBK의 M&A를 도와주는 곳이나”며 “국회를 향한 모독”이라고 질타했다.
현재 홈플러스는 MBK파트너스의 경영실패로 청산 위기에 놓인 상태다.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낮아, 11월10일까지 인수대상자를 찾지 못하면 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전날 김 회장은 홈플러스 사태 및 롯데카드 보안사고와 관련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 회장은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 사태의 책임을 추궁당할 때마다 ‘자신은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대답만을 거듭해 빈축을 샀다.
김 회장은 올해 4월부터 수차례 국회 출석 요구를 받았으나 같은 이유로 불출석했다.
이번 이례적 출석에서도 실질적으로는 출석하지 않은 것과 다를 바 없었던 셈이다.
김 회장은 ‘사회적 책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홈플러스를 향한 5천억 원 규모 지원을 언급했다.
그는 “5월에 1천억 원을 냈고, 다 사용된 걸로 알고 있다”며 “7월 1500억 원 보증과 9월 2천억 원 현금 증여로 약속해, 다 합쳐서 5천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1500억 원 규모 보증은 홈플러스 청산 뒤 회수가 가능하고, 2천억 원 증여 약속에도 ‘최대 2천억 원’이란 단서가 붙었다.
이날 국정감사에 배석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MBK파트너스의 보통주 소각은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고, 자금 지원 약속들도 큰 의미 없어 보인다’고 비판했다.
김 회장은 롯데카드 관련 질의에도 자신이 관여하는 분야가 아니라며 답변을 피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가 향후 5년 간 정보보호예산 1100억 원어치를 확대하는 계획을 밝혔으나 이 역시 신뢰성에 의문이 남는다.
MBK파트너스는 2022년부터 롯데카드 매각을 추진해왔고, 올해 매각주관사로 UBS를 선정한 뒤 매각 작업에 착수했다.
김 회장이 국정감사에 ‘안 나오느니만 못한’ 형태로 출석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 정치권의 출석요구를 무시하기 어려워지자 어떻게든 하루만 넘겨보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 회장은 국회가 국민을 대리하는 곳이고, 국정감사는 전 국민이 지켜보는 자리임을 간과했다.
국회는 김 회장을 만나 꾸짖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의 책임감 있는 자세를 기대하며 증인으로 불러 세웠다.
김 회장이 직접 참석해 얼굴을 드러내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사회적 책임 이상의 사과와 해결책을 들고 왔어야 했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와 롯데카드를 매각·청산 등으로 자금회수(엑시트)하지 않고 직접 경영으로 책임지는 것이 바람직한 해결책일 것이다.
사모펀드의 본질은 전문적이고 책임감 있는 경영으로 인수한 기업 가치를 높여 다시 판매하는 것이다.
반면 김 회장이 일련의 사태에서 보인 행보는 기업을 싸게 사들여 수익을 편취한 뒤 시장에 던져버리는 ‘약탈적 행위’다.
김 회장과 MBK파트너스가 이 같은 행위에 책임지지 않는다면 ‘기업 사냥꾼’이라는 이미지가 더욱 고착화 될 것이다.
국회와 금융당국은 홈플러스, 롯데카드, 고려아연 등 MBK파트너스 관련 사안을 집중적으로 살피겠다고 나선 상태다. MBK파트너스의 한국시장 참여를 제한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회생 과정에서 상환전환우선주(RCPS) 상환권 변경을 진행하며 국민연금에 9천억 원가량 손실을 끼쳤던 데 따른 것이다.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게 한국은 중요한 시장이고, 한국시장에서의 퇴출은 홈플러스 관련 손실보다 더 아프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김 회장과 MBK파트너스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고발당한 상태다.
MBK파트너스 본사는 물론 김 회장의 자택도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기도 했다.
만약 김 회장의 혐의가 구체화될 경우 사법적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김 회장이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만 수사·재판 과정에서 정상참작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날 오전 11시 국회 정문 앞에서는 홈플러스 피해자단체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한 입점 점주 피해자는 이 자리에서 “원상복구 비용 1700만 원이 없어 홈플러스에서 퇴점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것은 국민들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김병주 회장은 사재를 출연해서 구제하겠다는 새빨간 거짓말을 멈추고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2025년 4월 기준 재산 98억 달러(약 14조 원)을 보유한 한국계 부호 1위 자산가다.
그러나 평범한 국민의 삶을 짓밟고 책임지지 않는 그를 어떻게 부자라고 부를 수 있을까.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