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은 디지털 통신 브랜드 ‘에어(air)’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에어는 자급제 단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유심·이심 단독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입과 개통은 13일부터 할 수 있다.
에어는 자급제 단말을 사용 중인 2030세대들의 요구를 면밀히 분석해 단순함과 실용적 혜택에 중점을 두고 설계됐다.
브랜드명 ‘에어’도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핵심 서비스와 혜택만 담아 복잡함은 없애고 공기처럼 가벼운 통신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SK텔레콤은 에어 브랜드를 통해 요금 부담은 낮추면서도, 편리한 서비스 경험을 추구하는 2030세대들에게 통신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는 전략이다.
에어의 특징은 △데이터 중심의 단순한 요금제 △활용도 높은 포인트 △완결적 처리가 가능한 셀프 개통 △365일 운영하는 고객센터 △핵심만 추린 부가서비스(로밍, 통신편의, 보안) 등이다. 자급제 단말 고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단말은 판매하지 않는다.
에어의 요금제는 5G 핵심 데이터 구간 6개로 구성된다. 필수적 데이터와 음성 통화, 문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가 혜택을 없애 월정액 요금을 낮췄다. 2만9천 원(7GB)부터 최대 5만8천 원(무제한)으로 구성되며 적립한 포인트를 사용해 더 낮출 수 있다.
모든 요금제는 기본제공 데이터를 모두 사용한 후에도 지정된 속도로 추가 요금 없이 데이터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30GB 이하 요금제는 기본 제공 데이터 모두 테더링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71GB 이상은 최대 50GB까지 테더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회사 측은 가입자의 호응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는 기능으로 에어 포인트를 꼽는다. 에어 앱에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해 쌓은 포인트는 모바일상품권 구매와 요금 납부에 이용 가능하다.
에어 포인트는 회선 가입과 무관하게 에어 앱 가입만 하면 적립할 수 있으며, 포인트 사용은 회선 가입 후 할 수 있다. 요금 납부에는 매월 최대 5천 포인트까지 적용할 수 있고 잔여 포인트는 포인트샵에서 쓸 수 있다.
에어의 포인트샵에서는 네이버페이포인트, 편의점, 백화점, 올리브영 상품권 등 1천여 종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해 포인트 활용도를 높였다.
에어 앱은 앱 하나로 모든 것을 쉽고, 편리하고, 직관적 고객 경험을 구현하는데 방점을 두고 설계됐다.
에어 서비스는 회원가입부터 개통, 해지, 고객상담, 부가서비스 가입 등 모든 서비스를 앱을 통해 통신 가입자가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
에어 고객센터는 365일 24시간 운영된다. 에어 서비스 전문 상담원을 통해 실시간 일대일 채팅 상담을 제공한다. 향후에는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상담을 도입해 고객 상담을 지원한다.
부가서비스는 로밍 서비스를 포함해 △컬러링, 콜키퍼와 같은 통화 편의 △문자스팸 필터링, 유심보호서비스와 같은 보안상품 등으로 구성됐다.
가입자는 필요한 부가서비스는 앱에서 직접 선택해 가입하고 해지도 앱에서 클릭 한 번으로 쉽게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향후 프로세스 고도화 및 AI 접목으로 에어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제휴사와의 협력을 통해 가입자의 디지털 통신 경험 혁신을 지속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SK텔레콤은 12일까지 12일 동안 에어 출시 사전 알림 이벤트를 진행한다. 에어 이벤트 페이지에서 진행되는 얼음 깨기 게임에 참가하면 최대 3만 원의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지급한다. 이용하는 통신사에 관계없이 이벤트에 참가할 수 있으며, 이벤트 후 에어 카카오 채널을 추가하면 13일에 출시 안내를 받아볼 수 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에어는 2030 고객들이 기존 통신 서비스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꼼꼼히 살펴가며 개통부터 해지까지 모든 통신 경험을 새롭게 구성한 서비스”라며 “디지털 세대의 특화된 요구를 충족시키는 틈새 전략과 다양한 혁신적 시도를 통해 기존 통신 서비스와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에어는 자급제 단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유심·이심 단독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입과 개통은 13일부터 할 수 있다.

▲ 1일 SK텔레콤이 자급제 단말을 선호하는 2030세대를 겨낭한 새 디지털 통신 브랜드 '에어'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 SK텔레콤 >
에어는 자급제 단말을 사용 중인 2030세대들의 요구를 면밀히 분석해 단순함과 실용적 혜택에 중점을 두고 설계됐다.
브랜드명 ‘에어’도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핵심 서비스와 혜택만 담아 복잡함은 없애고 공기처럼 가벼운 통신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SK텔레콤은 에어 브랜드를 통해 요금 부담은 낮추면서도, 편리한 서비스 경험을 추구하는 2030세대들에게 통신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는 전략이다.
에어의 특징은 △데이터 중심의 단순한 요금제 △활용도 높은 포인트 △완결적 처리가 가능한 셀프 개통 △365일 운영하는 고객센터 △핵심만 추린 부가서비스(로밍, 통신편의, 보안) 등이다. 자급제 단말 고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단말은 판매하지 않는다.
에어의 요금제는 5G 핵심 데이터 구간 6개로 구성된다. 필수적 데이터와 음성 통화, 문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가 혜택을 없애 월정액 요금을 낮췄다. 2만9천 원(7GB)부터 최대 5만8천 원(무제한)으로 구성되며 적립한 포인트를 사용해 더 낮출 수 있다.
모든 요금제는 기본제공 데이터를 모두 사용한 후에도 지정된 속도로 추가 요금 없이 데이터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30GB 이하 요금제는 기본 제공 데이터 모두 테더링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71GB 이상은 최대 50GB까지 테더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회사 측은 가입자의 호응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는 기능으로 에어 포인트를 꼽는다. 에어 앱에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해 쌓은 포인트는 모바일상품권 구매와 요금 납부에 이용 가능하다.
에어 포인트는 회선 가입과 무관하게 에어 앱 가입만 하면 적립할 수 있으며, 포인트 사용은 회선 가입 후 할 수 있다. 요금 납부에는 매월 최대 5천 포인트까지 적용할 수 있고 잔여 포인트는 포인트샵에서 쓸 수 있다.
에어의 포인트샵에서는 네이버페이포인트, 편의점, 백화점, 올리브영 상품권 등 1천여 종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해 포인트 활용도를 높였다.
에어 앱은 앱 하나로 모든 것을 쉽고, 편리하고, 직관적 고객 경험을 구현하는데 방점을 두고 설계됐다.
에어 서비스는 회원가입부터 개통, 해지, 고객상담, 부가서비스 가입 등 모든 서비스를 앱을 통해 통신 가입자가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
에어 고객센터는 365일 24시간 운영된다. 에어 서비스 전문 상담원을 통해 실시간 일대일 채팅 상담을 제공한다. 향후에는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상담을 도입해 고객 상담을 지원한다.
부가서비스는 로밍 서비스를 포함해 △컬러링, 콜키퍼와 같은 통화 편의 △문자스팸 필터링, 유심보호서비스와 같은 보안상품 등으로 구성됐다.
가입자는 필요한 부가서비스는 앱에서 직접 선택해 가입하고 해지도 앱에서 클릭 한 번으로 쉽게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향후 프로세스 고도화 및 AI 접목으로 에어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제휴사와의 협력을 통해 가입자의 디지털 통신 경험 혁신을 지속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 SK텔레콤이 1일 서울 T 팩토리 성수에서 새 디지털 통신 브랜드 에어를 설명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은 12일까지 12일 동안 에어 출시 사전 알림 이벤트를 진행한다. 에어 이벤트 페이지에서 진행되는 얼음 깨기 게임에 참가하면 최대 3만 원의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지급한다. 이용하는 통신사에 관계없이 이벤트에 참가할 수 있으며, 이벤트 후 에어 카카오 채널을 추가하면 13일에 출시 안내를 받아볼 수 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에어는 2030 고객들이 기존 통신 서비스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꼼꼼히 살펴가며 개통부터 해지까지 모든 통신 경험을 새롭게 구성한 서비스”라며 “디지털 세대의 특화된 요구를 충족시키는 틈새 전략과 다양한 혁신적 시도를 통해 기존 통신 서비스와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