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유플러스는 내년에도 주주환원 증가로 주당배당금은 770원, 자사주 800∼1400억 원으로 전망된다.
대신증권은 28일 LG유플러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만7천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26일 기준 주가는 1만4980원에 거래를 마쳤다.
LG유플러스는 2025년 주당순이익(EPS) 1497원에 주가수익비율(PER) 12배 적용했다. 최근 5년 통신업(KT, LG유플러스 기준) 평균 10배 대비 20% 할증을 적용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2026년 이후 안정적인 high-single 이익 성장과 주주환원 규모 증가를 확인해가면서 경쟁사들과 동일한 PER 13배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0.2% 늘어난 3조8천억 원, 영업이익은 43% 감소한 1400억 원으로 전망된다.
2025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 증가한 9300억 원, 2026년 영업이익은 33% 늘어난 1조2천억 원으로 추정된다.
3분기 명예퇴직 비용은 약 1600억 원으로 가정된다. SK텔레콤의 지난해 4분기 사례로 추정한 것이다.
일회성 반영 전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은 19% 늘어난 3천억 원, 2025년은 24% 증가한 1조1천억 원으로 추정된다.
2026년부터 인건비는 연간 약 600억 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3분기 무선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4.8% 증가한 1조6천억 원으로 전망된다. 전분기는 전년대비 4.3% 증가했다.
3분기 무선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전년 동기대비 2.7% 늘어난 3만6300원으로 전망된다.
마케팅비는 전년 동기대비 2% 줄어든 5400억 원으로 매출 대비 19%로 5G 도입 이후 평균인 22%를 하회했다.
감가비는 전년 동기대비 2% 증가한 5800억 원으로 매출 대비 20.2%로 5G 도입 이후 평균인 19.6% 수준이다. 판매비와 감가비에 대한 부담이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다.
9월1일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 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주가는 9월 약세로 돌아섰다. 다만, 직접적인 고객 피해사례는 발생하지 않아서 1만5천 원 선에서 유지하고 있다.
8월초부터 시작된 800억 원 자사주 취득은 32% 진행 중이어서 주가의 버팀목이다.
꾸준한 외인 매수 유입도 주가의 버팀목이다. 외인 비중은 40.3%로 2025년 대비 4.6%p 증가했다.
자사주 취득 시작 후 2.2%p 상승했다.
김회재 연구원은 “명예퇴직 후인 2026년 이후 실적은 직전 추정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를 반영한 주당배당금(DPS)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DPS 2025년 650원, 2026년 770원, 2027년 830원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자사주 취득/소각은 2025년 800억 원, 2026년 800억 원~1400억 원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총주주환원은 2025년 3500억 원, 2026년 4천~4600억 원으로 총주주환원 수익률은 6.2~7.1%”이라고 지적했다.
LG유플러스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4.6% 늘어난 15조2950억 원, 영업이익은 6.5% 증가한 91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
대신증권은 28일 LG유플러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만7천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26일 기준 주가는 1만4980원에 거래를 마쳤다.

▲ LG유플러스의 2026년 매출액은 15조5370억 원, 영업이익은 1조2210억 원으로 추정된다.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2025년 주당순이익(EPS) 1497원에 주가수익비율(PER) 12배 적용했다. 최근 5년 통신업(KT, LG유플러스 기준) 평균 10배 대비 20% 할증을 적용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2026년 이후 안정적인 high-single 이익 성장과 주주환원 규모 증가를 확인해가면서 경쟁사들과 동일한 PER 13배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0.2% 늘어난 3조8천억 원, 영업이익은 43% 감소한 1400억 원으로 전망된다.
2025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 증가한 9300억 원, 2026년 영업이익은 33% 늘어난 1조2천억 원으로 추정된다.
3분기 명예퇴직 비용은 약 1600억 원으로 가정된다. SK텔레콤의 지난해 4분기 사례로 추정한 것이다.
일회성 반영 전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은 19% 늘어난 3천억 원, 2025년은 24% 증가한 1조1천억 원으로 추정된다.
2026년부터 인건비는 연간 약 600억 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3분기 무선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4.8% 증가한 1조6천억 원으로 전망된다. 전분기는 전년대비 4.3% 증가했다.
3분기 무선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전년 동기대비 2.7% 늘어난 3만6300원으로 전망된다.
마케팅비는 전년 동기대비 2% 줄어든 5400억 원으로 매출 대비 19%로 5G 도입 이후 평균인 22%를 하회했다.
감가비는 전년 동기대비 2% 증가한 5800억 원으로 매출 대비 20.2%로 5G 도입 이후 평균인 19.6% 수준이다. 판매비와 감가비에 대한 부담이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다.
9월1일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 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주가는 9월 약세로 돌아섰다. 다만, 직접적인 고객 피해사례는 발생하지 않아서 1만5천 원 선에서 유지하고 있다.
8월초부터 시작된 800억 원 자사주 취득은 32% 진행 중이어서 주가의 버팀목이다.
꾸준한 외인 매수 유입도 주가의 버팀목이다. 외인 비중은 40.3%로 2025년 대비 4.6%p 증가했다.
자사주 취득 시작 후 2.2%p 상승했다.
김회재 연구원은 “명예퇴직 후인 2026년 이후 실적은 직전 추정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를 반영한 주당배당금(DPS)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DPS 2025년 650원, 2026년 770원, 2027년 830원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자사주 취득/소각은 2025년 800억 원, 2026년 800억 원~1400억 원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총주주환원은 2025년 3500억 원, 2026년 4천~4600억 원으로 총주주환원 수익률은 6.2~7.1%”이라고 지적했다.
LG유플러스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4.6% 늘어난 15조2950억 원, 영업이익은 6.5% 증가한 91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