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솔루션 '녹색해운' 토론회, "재생에너지·항만 연결이 해운경쟁력 좌우"

▲ 기후솔루션은 25일 국회에서 태평양환경재단과 함께 '바람에서 연료까지: 해운·항만의 탈탄소 전환'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사진은 토론회 자료집 표지. <기후솔루션>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해운산업이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보전하려면 최대한 빠르게 항만을 재생에너지에 연계하고 친환경 선박을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후솔루션은 25일 국회에서 태평양환경재단과 함께 '바람에서 연료까지: 해운·항만의 탈탄소 전환' 토론회를 열었다.

현재 전 세계 해운산업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규제와 기술 전환 속도를 높이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이를 위해 올해 10월 '넷제로 프레임워크'를 채택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이에 기후솔루션은 한국도 해상풍력을 기반으로 한 재생에너지 공급과 연계해 항만 및 해운 에너지 전환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현재 국내 재생에너지 송전망 부족, 미흡한 항만 인프라, 친환경 선박 도입 지연 등이 구조적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이번 토론회는 이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정책적 보완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 발제를 맡은 염정훈 기후솔루션 해운팀장은 "국제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전기추진선은 국내 해운 배출을 탄소중립 수준까지 줄일 수 있는 현실적 해법"이라며 "전기추진선의 연안항로 전환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현주 태평양환경재단 아시아기후캠페인 디렉터는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빠르게 늘려 항만을 재생에너지 허브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디렉터는 "항만은 화석연료 오염의 근원지가 아니라 친환경 에너지와 혁신의 중심지가 돼야 한다"며 "제주-목포 연안 녹색해운항로를 시범 지정해 기술·경제 실증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장에 참석한 정부 관계자도 국제 트렌드에 맞춰 해운과 항만의 신속한 탈탄소화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

박인성 해양수산부 해사산업과 사무관은 "국제해사기구의 넷제로 프레임워크는 더 이상 선언이 아니라 현실이고 한국 해운이 대응하지 않으면 경쟁력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며 "정부와 공공, 민간, 연구기관이 협업해 녹색해운항로를 추진하고 있으며 한·미 사이에는 2027년 메탄올 추진선 실증운항을 목표로 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