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대한통운은 25일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와 휴머노이드 로봇의 물류 현장 상용화를 위한 피지컬 인공지능(AI) 기술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의 핵심 내용은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의 현장 상용화다. 피지컬 AI는 AI가 디지털 환경을 넘어 현실 세계를 물리적으로 이해·인식하고 행동하는 지능을 의미한다.
CJ대한통운은 이달 중순부터 물류업계 최초로 로보티즈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군포 물류센터에 배치해 현장 실증을 시작했다. 여러 작업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투입해 운영 효율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있다.
로보티즈는 휴머노이드 하드웨어를 개발·공급하고, CJ대한통운은 운영 시스템 및 AI 소프트웨어와 원활히 연계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한다.
CJ대한통운은 올해 안에 실증사업을 완료하고, 내년부터 주요 물류센터에 순차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적용하고 본격적인 상용화 작업을 추진한다.
김정희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업계 최초로 시작한 이번 실증은 물류용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위한 분수령”이라며 “현장 작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분석해 휴머노이드와 AI 중심의 새로운 물류 기술 생태계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이번 협약의 핵심 내용은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의 현장 상용화다. 피지컬 AI는 AI가 디지털 환경을 넘어 현실 세계를 물리적으로 이해·인식하고 행동하는 지능을 의미한다.

▲ CJ대한통운 군포 풀필먼트센터에 AI 휴머노이드 로봇을 도입해 실증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CJ대한통운 >
CJ대한통운은 이달 중순부터 물류업계 최초로 로보티즈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군포 물류센터에 배치해 현장 실증을 시작했다. 여러 작업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투입해 운영 효율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있다.
로보티즈는 휴머노이드 하드웨어를 개발·공급하고, CJ대한통운은 운영 시스템 및 AI 소프트웨어와 원활히 연계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한다.
CJ대한통운은 올해 안에 실증사업을 완료하고, 내년부터 주요 물류센터에 순차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적용하고 본격적인 상용화 작업을 추진한다.
김정희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업계 최초로 시작한 이번 실증은 물류용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위한 분수령”이라며 “현장 작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분석해 휴머노이드와 AI 중심의 새로운 물류 기술 생태계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