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대통령이 2030 청년들과 만나 청년 문제에 대해 기성세대로서 자신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19일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소극장에서 열린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서 "청년세대 전체가 피해 계층이라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2030 토크콘서트, "청년세대 전체가 피해 계층이라 생각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19일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 소극장에서 열린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 저성장을 청년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이 대통령은 "요즘 청년들은 직장을 구하기도 어렵고 설령 구하더라도 미래가 희망적이지도 않다"며 "기성세대와 비교하면 기회의 총량이 부족해졌고 이로 인해 경쟁이 너무 극렬해졌다"고 짚었다.

이 대통령은 젠더 갈등 문제를 언급하며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본 자료에 따르면 20대 여성의 70.3%는 여성이 차별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20대 남성의 70.4%는 남성이 차별받고 있다고 생각한다더라"며 "청년 세대 전체가 피해 계층으로  남녀 간 대립보다는 대화를 통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기업에게 혜택을 줘 청년 고용을 늘일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청년 고용 문제를 놓고 "청년 고용이 지속되려면 기업들의 손실이 없어야 한다"며 "지금은 정부 재정으로 다 교육훈련을 시키고 있는데, 기업이 그렇게 해주면 역할에 대한 세제 혜택이나 경제적 혜택을 줘서 손해가 안 나게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청년 주거 정책 개선을 위한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젊은 세대들이 결혼하면 역세권에 15평, 아이 낳으면 한 20평, 아이 둘 낳으면 25평, 30평 임대해 주면 얼마나 좋겠나"라며 "정책 전환이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끝으로 "새로운 세상으로 같이 가자, 저는 가능하다고 믿는다"며 "새롭게 리셋하고 새로운 각오로 서로 존중하고 이해하고 힘을 합쳐서 통합하면 새로운 길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라고 청년들을 격려했다. 권석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