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거래소가 채권·외환·원자재(FICC) 파생상품시장 개장시각을 15분 앞당긴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10월27일부터 FICC 파생상품시장 개장 시각을 기존 오전 9시에서 8시45분으로 15분 앞당긴다고 19일 밝혔다.
한국거래소는 이번 조기화가 현물시장 개장 전에 발생한 국내·외 이벤트를 파생상품 가격에 선반영시킴으로써 현물 투자자가 다양한 예측이 미리 반영된 파생상품 가격을 지표로 거래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1월 주식파생상품시장의 조기 개장을 완료했고, 주식시장 가격발견 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며 “이에 FICC 파생상품시장에서도 개장시각을 조기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개장 시각이 앞당겨지는 상품은 3년·5년·10년·30년 국채선물 등 국채상품군과 미국달러·엔·유로·위안 선물 등 통화상품군, 3개월 무위험 지표금리선물 등 금리상품군, 금 선물 등 일반상품군이다.
파생상품시장 정규장 마감 시간은 조기개장이 추진된 뒤에도 현행 오후 3시45분으로 유지된다. 박재용 기자
한국거래소는 오는 10월27일부터 FICC 파생상품시장 개장 시각을 기존 오전 9시에서 8시45분으로 15분 앞당긴다고 19일 밝혔다.

▲ 한국거래소가 FICC 파생사품시장 개장시각을 15분 앞당긴다.
한국거래소는 이번 조기화가 현물시장 개장 전에 발생한 국내·외 이벤트를 파생상품 가격에 선반영시킴으로써 현물 투자자가 다양한 예측이 미리 반영된 파생상품 가격을 지표로 거래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1월 주식파생상품시장의 조기 개장을 완료했고, 주식시장 가격발견 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며 “이에 FICC 파생상품시장에서도 개장시각을 조기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개장 시각이 앞당겨지는 상품은 3년·5년·10년·30년 국채선물 등 국채상품군과 미국달러·엔·유로·위안 선물 등 통화상품군, 3개월 무위험 지표금리선물 등 금리상품군, 금 선물 등 일반상품군이다.
파생상품시장 정규장 마감 시간은 조기개장이 추진된 뒤에도 현행 오후 3시45분으로 유지된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