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더본코리아가 유휴 전통시장 재생과 청년 창업 지원으로 지역 상권 회복에 나선다.
더본코리아는 19일 인구 소멸위기 지역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시온’ 프로젝트를 본격 전개한다고 밝혔다.
‘다시온’은 ‘다시 시장에 온기를’의 줄임말로 유휴 전통시장과 상권에 해당 지역 대표 농축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창업 지원으로 지역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는 프로젝트다. 인구 소멸위기 지역의 침체된 시장에 ‘다시 온기를 불어넣는다’는 의미와 과거 많은 이들이 찾았던 시장에 사람들의 발길이 ‘다시 온다’는 의미를 함께 담았다고 더본코리아는 설명했다.
더본코리아는 2023년부터 충남 예산군의 ‘예산장터광장’과 제주 금악리의 ‘금악마을’, 경남 창녕군의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등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외식 브랜드 개발과 청년 창업 지원을 연계 추진하며 지역 상권 회복 모델의 가능성을 검증했다.
13일에는 ‘다시온’의 4번째 프로젝트로 경북 문경시 ‘가은아자개장터’ 외식 창업 테마파크를 열었다.
더본코리아는 이번 ‘다시온 문경’ 프로젝트를 위해 2024년 4월 ‘외식산업개발원 문경센터’를 설립하고 지역 특산물 기반의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와 상권 인프라 조성, 전통시장과 관광자원을 연계한 상권 활성화 모델 구축 등 창업 생태계를 마련했다.
문경의 대표 농축산물인 △약돌 돼지고기 △사과 △오미자 △표고버섯 등을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 △분식 △돈까스 △소시지 △국수 △전집 △국밥 △족발 △석쇠불고기 △빵 △떡 디저트 등 외식 브랜드 청년 창업팀 10곳을 공개 모집으로 선발했다.
선발된 창업자들에게는 요리법 전수와 운영 자문, 마케팅 교육 등 실전 중심 창업 교육을 제공했으며 창업 이후에도 매출 점검과 추가 메뉴 개발, 매장 활성화 지원 등 경영 자문과 품질 관리를 지원한다.
더본코리아는 “더본코리아의 오랜 노하우인 외식 컨설팅을 기반으로 침체된 지역 상권을 회복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 ‘다시온’ 프로젝트의 목표”라며 “예산과 창녕, 문경에 이어 전국 각지 인구 소멸위기 지역에 맞춤형 외식창업 플랫폼을 계속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
더본코리아는 19일 인구 소멸위기 지역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시온’ 프로젝트를 본격 전개한다고 밝혔다.

▲ 경북 문경시 '가은아자개장터' 모습. <더본코리아>
‘다시온’은 ‘다시 시장에 온기를’의 줄임말로 유휴 전통시장과 상권에 해당 지역 대표 농축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창업 지원으로 지역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는 프로젝트다. 인구 소멸위기 지역의 침체된 시장에 ‘다시 온기를 불어넣는다’는 의미와 과거 많은 이들이 찾았던 시장에 사람들의 발길이 ‘다시 온다’는 의미를 함께 담았다고 더본코리아는 설명했다.
더본코리아는 2023년부터 충남 예산군의 ‘예산장터광장’과 제주 금악리의 ‘금악마을’, 경남 창녕군의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등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외식 브랜드 개발과 청년 창업 지원을 연계 추진하며 지역 상권 회복 모델의 가능성을 검증했다.
13일에는 ‘다시온’의 4번째 프로젝트로 경북 문경시 ‘가은아자개장터’ 외식 창업 테마파크를 열었다.
더본코리아는 이번 ‘다시온 문경’ 프로젝트를 위해 2024년 4월 ‘외식산업개발원 문경센터’를 설립하고 지역 특산물 기반의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와 상권 인프라 조성, 전통시장과 관광자원을 연계한 상권 활성화 모델 구축 등 창업 생태계를 마련했다.
문경의 대표 농축산물인 △약돌 돼지고기 △사과 △오미자 △표고버섯 등을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 △분식 △돈까스 △소시지 △국수 △전집 △국밥 △족발 △석쇠불고기 △빵 △떡 디저트 등 외식 브랜드 청년 창업팀 10곳을 공개 모집으로 선발했다.
선발된 창업자들에게는 요리법 전수와 운영 자문, 마케팅 교육 등 실전 중심 창업 교육을 제공했으며 창업 이후에도 매출 점검과 추가 메뉴 개발, 매장 활성화 지원 등 경영 자문과 품질 관리를 지원한다.
더본코리아는 “더본코리아의 오랜 노하우인 외식 컨설팅을 기반으로 침체된 지역 상권을 회복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 ‘다시온’ 프로젝트의 목표”라며 “예산과 창녕, 문경에 이어 전국 각지 인구 소멸위기 지역에 맞춤형 외식창업 플랫폼을 계속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