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경기도 광명 KT 이용자를 대상으로 휴대전화 소액결제가 무단으로 이뤄졌다는 신고가 경찰에 잇따라 접수되자 KT가 대규모 전담반을 구성하며 긴급 대응에 나섰다.
KT는 이번 사건이 최근 불거진 해킹 의혹과는 관련이 없는 스미싱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정확한 사고 원인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만큼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주의를 알리는 공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KT가 주의 공지를 하지 않는 것을 두고, 가입자 피해보다 매출 감소를 우선 고려한 무책임한 처사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5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KT는 김영섭 사장 직속으로 이번 광명시 소액결제 사건을 담당할 전담반을 긴급 구성했다.
전담반에는 90여 명의 임직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KT가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사건은 지난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등지에 거주하는 KT 이용자들의 휴대폰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 명목으로 소액결제가 무단으로 발생하면서 불거졌다.
지난 2일 기준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는 26명, 피해 규모는 약 17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KT 콜센터를 통해서도 추가 피해가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KT가 긴급 전담반을 구성한 이유는 이번 사고가 원인 불명으로 대량의 가입자에게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KT는 사건이 미국 보안 전문지를 통해 알려진 해킹 사고 의혹과는 무관하며, 휴대전화에 설치된 악성 앱으로 발생한 스미싱으로 추정하고 있다.
KT는 유통점 직원이 가입자 휴대전화에 악성코드를 설치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사고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추가 피해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예방 조치를 먼저 시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소액결제 해킹 피해와 관련해 주의보를 발령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경고 문자 발송이 필요하다”며 “주의를 당부하는 문자를 보내는 것이 사업자로서 책임 있는 자세”라고 말했다.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팀장은 “KT가 경각심을 가지고 긴밀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과기정통부도 피해 조사 등 관련 조치를 함께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은 "수 십년 전 사고가 되폴이됐다"며 "KT는 사고 사실을 고백하고, 재발방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김재섭 선임기자
KT는 이번 사건이 최근 불거진 해킹 의혹과는 관련이 없는 스미싱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정확한 사고 원인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만큼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주의를 알리는 공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단독] KT 광명 지역의 무단 소액결제 관련 대규모 전담반 구성, "가입자 주의 즉각 알려야야" 지적도](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7/20250723113236_81891.jpg)
▲ KT가 경기도 광명시에서 발생한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사장 직속 전담반을 구성했다. <연합뉴스>
일각에서는 KT가 주의 공지를 하지 않는 것을 두고, 가입자 피해보다 매출 감소를 우선 고려한 무책임한 처사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5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KT는 김영섭 사장 직속으로 이번 광명시 소액결제 사건을 담당할 전담반을 긴급 구성했다.
전담반에는 90여 명의 임직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KT가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사건은 지난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등지에 거주하는 KT 이용자들의 휴대폰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 명목으로 소액결제가 무단으로 발생하면서 불거졌다.
지난 2일 기준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는 26명, 피해 규모는 약 17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KT 콜센터를 통해서도 추가 피해가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KT가 긴급 전담반을 구성한 이유는 이번 사고가 원인 불명으로 대량의 가입자에게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KT는 사건이 미국 보안 전문지를 통해 알려진 해킹 사고 의혹과는 무관하며, 휴대전화에 설치된 악성 앱으로 발생한 스미싱으로 추정하고 있다.
KT는 유통점 직원이 가입자 휴대전화에 악성코드를 설치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사고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추가 피해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예방 조치를 먼저 시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소액결제 해킹 피해와 관련해 주의보를 발령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경고 문자 발송이 필요하다”며 “주의를 당부하는 문자를 보내는 것이 사업자로서 책임 있는 자세”라고 말했다.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팀장은 “KT가 경각심을 가지고 긴밀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과기정통부도 피해 조사 등 관련 조치를 함께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은 "수 십년 전 사고가 되폴이됐다"며 "KT는 사고 사실을 고백하고, 재발방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김재섭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