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 태양광 산업이 중국 의존도를 크게 낮추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5일 “한국 태양광 가치사슬의 탈중국화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탈중국 가속화로 미국 시장에서 입지도 강화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현대차증권이 무역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7월부터 한국으로 수입되는 웨이퍼 물량은 크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동안 중국에 의존해 온 웨이퍼 시장의 ‘탈중국화’가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강 연구원은 “지금까지 국내 수입 태양광용 웨이퍼는 거의 대부분 중국에서 들어왔다”며 “하지만 7월부터 대부분 중국산 웨이퍼가 사라지고 베트남 수입 물량이 크게 늘었다”고 바라봤다.
탈중국화 가속은 미국의 중국 태양광산업 견제에 따른 대응으로 분석됐다. 미국이 비중국 가치사슬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 수입처 다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강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산 태양광 소재, 즉 폴리실리콘 및 웨이퍼 관리를 강화한데 따른 대응으로 판단된다”며 “베트남에는 VSUN과 같은 비중국 태양광 업체가 웨이퍼 공장을 건설했고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OCI홀딩스 등이 비중국 폴리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비중국 웨이퍼를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앞으로 미국 시장 내 중국산 제품의 유입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국내 기업의 수혜가 예상됐다. 최선호주로는 OCI홀딩스가 유지됐다.
강 연구원은 “미국의 인도와 라오스, 인도네시아 반덤핑 관세 조사 개시 및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UFLPA) 적용 강화 등으로 중국산 태양광 제품 유입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한국 태양광 가치사슬 탈중국 소재 가속으로 미국 내 입지 확대가 예상되며 최선호주로는 OCI홀딩스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5일 “한국 태양광 가치사슬의 탈중국화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탈중국 가속화로 미국 시장에서 입지도 강화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 한국 태양광 산업이 중국 의존도를 크게 낮추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차증권이 무역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7월부터 한국으로 수입되는 웨이퍼 물량은 크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동안 중국에 의존해 온 웨이퍼 시장의 ‘탈중국화’가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강 연구원은 “지금까지 국내 수입 태양광용 웨이퍼는 거의 대부분 중국에서 들어왔다”며 “하지만 7월부터 대부분 중국산 웨이퍼가 사라지고 베트남 수입 물량이 크게 늘었다”고 바라봤다.
탈중국화 가속은 미국의 중국 태양광산업 견제에 따른 대응으로 분석됐다. 미국이 비중국 가치사슬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 수입처 다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강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산 태양광 소재, 즉 폴리실리콘 및 웨이퍼 관리를 강화한데 따른 대응으로 판단된다”며 “베트남에는 VSUN과 같은 비중국 태양광 업체가 웨이퍼 공장을 건설했고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OCI홀딩스 등이 비중국 폴리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비중국 웨이퍼를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앞으로 미국 시장 내 중국산 제품의 유입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국내 기업의 수혜가 예상됐다. 최선호주로는 OCI홀딩스가 유지됐다.
강 연구원은 “미국의 인도와 라오스, 인도네시아 반덤핑 관세 조사 개시 및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UFLPA) 적용 강화 등으로 중국산 태양광 제품 유입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한국 태양광 가치사슬 탈중국 소재 가속으로 미국 내 입지 확대가 예상되며 최선호주로는 OCI홀딩스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