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5일부터 9일(현지시각) 'IFA 2025'가 열리는 독일 베를린 '시티큐브 베를린'에 위치한 삼성전자 전시관 입구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전시 주제인 'AI 홈, 미래 일상을 현실로'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시티 큐브 베를린’에 업계 최대 규모인 6235㎡(약 1886평) 규모의 공간을 마련해 인공지능(AI)으로 서비스와 제품을 구현한 ‘AI 홈’을 선보인다.
‘AI 홈 리빙’ 존에는 삼성전자의 AI 홈이 제안하는 4대 핵심 경험인 △쉽고 편리함 △나와 가족의 건강과 안전 △시간과 에너지 효율 △강력한 보안 등이 소개된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필수적인 ‘수면’과 ‘영양’을 간편하게 관리하고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싱스’ 솔루션을 만나볼 수 있다고 삼성전자 측은 설명했다.
스마트싱스는 갤럭시 워치나 링을 통해 수집된 수면 데이터와 사용자가 설정해둔 목표 기상 시간을 기반으로 잠에 들어야할 최적의 시간을 추천해 준다.
또 패밀리허브 냉장고에 식자재를 넣으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식품 리스트에 기록해 보관기한을 관리해주는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AI 홈 인사이드’ 존에서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비전 AI △비스포크 AI △갤럭시 AI를 전시한다.
비전 AI는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대화하듯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이다.
이는 TV가 질문의 맥락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TV 콘텐츠 관련 질문뿐 아니라 날씨, 뉴스 등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도 제공한다.
이외에 △실시간 번역 △생성형 월페이퍼 △화질과 사운드 최적화 등 다양한 AI 기능들도 소개한다.
삼성전자는 기술 우수성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 신형 제품들도 전시한다.
지난 8월 출시한 마이크로 RGB TV, 3D 공간감을 제공하는 스파티알 사이니지, 투명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이동형 스크린 ‘더 무빙스타일’ 등이다.
AI 성능이 강화된 비스포크 AI 제품들도 소개한다. 비스포크 AI 가전은 사용자를 이해하며 최적화된 성능과 상황에 맞는 솔루션을 제안한다.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의 ‘AI 하이브리드 쿨링’ 기술은 실시간으로 사용 환경을 감지해 컴프레서와 펠티어 소자가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AI 기술로 업그레이드된 2025년형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은 유색 액체뿐만 아니라 무색 투명 액체까지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에 따라 액체가 있는 구역을 물걸레로 청소하도록 하거나 회피시킬 수 있다.
이외에 에너지 효율을 중시하는 유럽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들도 전시한다.
구체적으로 유럽 에너지 효율 세탁기 최고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A등급)보다도 에너지 사용량을 65%나 추가로 절감할 수 있는 세탁기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 삼성전자는 AI 가전에 적용된 자체 보안 솔루션인 ‘녹스(Knox)’를 통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솔루션도 선보인다.
올해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로 연결된 기기들이 보안상태를 상호 점검하는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의 트러스트 체인(Trust Chain)을 와이파이(Wi-Fi) 기능이 탑재된 가전으로 확대 적용했다.
또 가전에 오류가 있을 때 ‘가전제품 원격진단’ 서비스를 통해 효율적인 솔루션도 시연한다. 이 서비스는 AI로 가전 데이터를 분석해 제품 이상을 원격으로 진단하고, 자가 조치 방법이나 정확한 수리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Z 폴드7·플립7’과 워치8 등에 탑재된 갤럭시 AI를 소개한다.
이 제품들을 통해 폴더블 폼팩터에 최적화된 멀티모달 AI 경험과 대화면 활용한 이미지 편집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하여 사용자는 기기와 더욱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
이외에 주거용을 넘어 매장, 오피스, 복합단지 등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로 확장되는 ‘AI 비즈니스 솔루션’ 존에서 스마트싱스 프로를 소개한다.
이는 매장 효율화, 주택단지 에너지 관리 및 공조 유지보수, 안전 관리 등 핵심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산업 요구에 부응하며 고도화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한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