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로 소비자 만족을 꼽았다.

정 회장은 미국 현지시각 21일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오토모티브 뉴스와 인터뷰에서 “소비자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응답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는 정주영 선대회장의 신념은 지금도 변함없는 나의 믿음이다”며 “이런 관점은 오늘날 우리가 일하는 방식을 이끄는 원동력”이라고 밝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DNA에 혁신 내재, 소비자 만족이 가장 중요한 가치"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 오토모티브 뉴스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로 소비자 만족을 꼽았다.


정 회장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의 품질과 안전에 대한 의지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 등이 그룹 경영 철학의 초석이 됐다고도 설명했다.

파트너십에 대한 본인의 경영철학도 밝혔다.

정 회장은 “현대차는 파트너십을 위한 파트너십은 맺지 않으며,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때 파트너십을 맺는다”며 “파트너십을 통해 더 빠르게 움직이고, 민첩성을 유지하며, 궁극적으로 더 혁신적인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2040년대 중국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방안에 대한 질문에서도 정 회장은 소비자를 강조했다.

정 회장은 “인간의 실질적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술은 아무 의미가 없다”며 “이것이 바로 현대차그룹이 항상 소비자에게 초점을 맞추는 이유이며 소비자 중심 접근 방식이 그룹의 성공을 이끌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25년 동안 자동차 산업을 가장 크게 변화시킬 핵심으로는 소프트웨어중심차(SDV)와 인공지능(AI) 기술의 융합을 꼽았다. 과거처럼 차량을 만들고 몇 년마다 업데이트하는 방식이 아닌 스마트폰처럼 끊임없이 개선되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산업을 변화시킨 인물 가운데 하나로는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를 꼽았다.

정 회장은 일론 머스크에 대해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전기차를 대중화하고 글로벌 충전 인프라를 구축했으며, 자동차 혁신에서 소프트웨어의 역할을 재정의함으로써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했다고 평가했다.

미국 자동차 관세 돌파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 회장은 “글로벌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현대차그룹은 이런 변화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며 “글로벌 확장과 스마트한 현지화 전략으로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했다.

최근 현대차그룹이 힘을 쏟고 있는 수소 사업과 관련해서는 세계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해결책 가운데 하나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2050년 한국 자동차 산업 전망에 대해서는 로봇의 역할을 강조했다.

정 회장은 “제조업의 미래를 사람과 기계의 협업으로 보고 있으며 진정한 힘은 인간과 로봇이 함께 이룰 수 있는 것에 있다”며 “기계가 반복적 공정을 처리하고, 사람은 창의적이고 복잡한 작업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50년 현대차그룹이 만들 신제품에 대해서는 자율주행차와 첨단 로보틱스, 지능형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수소 에너지 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내다봤다.

좋아하는 차종으로는 포르쉐 911과 람보르기니 쿤타치, 폭스바겐 골프 등을 꼽았다.

정 회장은 “자동차 산업에서는 진화하지 않으면 뒤쳐지기 마련이며, 혁신은 현대차그룹은 DNA에 내재돼 있다”며 “지금까지 현대차그룹의 성공을 이끌어 온 핵심요소였고, 앞으로도 그룹이 계속 나아가고 진보할 수 있도록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의 가장 중요한 성공 측정의 척도는 항상 소비자이며, 소비자 만족이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덧붙였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