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난해 2조5천억 원대 순손실을 냈다.
3일 주택도시보증공사가 31일 발표한 ‘2024년도 결산공고’에 따르면 지난해 순손실은 2조5198억 원으로 집계됐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2022년부터 3년 연속 적자를 내면서 3년 누적 순손실은 6조8천억 원에 육박했다.
이는 2022년부터 급증한 빌라 및 오피스텔 전세보증사고가 순손실을 발생시킨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보증과 분양보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등을 포함한 대위변제액은 6조1천억 원 수준으로 2023년보다 24% 가량 늘어났다.
지난해 대위변제액 가운데 전세보증 가입 세입자에게 내준 전세금은 4조 원에 달한다.
다만 지난해 순손실 규모는 2023년 순손실 규모인 3조8598억 원보다 줄었다.
지난해 5월부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의 담보인정비율을 100%에서 90%로 낮추면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올해 실적은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인애 기자
3일 주택도시보증공사가 31일 발표한 ‘2024년도 결산공고’에 따르면 지난해 순손실은 2조5198억 원으로 집계됐다.
▲ 주택도시보증공사는 3년 연속 적자를 거두며 누적 순손실은 6조8천억 원에 달했다. <연합뉴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2022년부터 3년 연속 적자를 내면서 3년 누적 순손실은 6조8천억 원에 육박했다.
이는 2022년부터 급증한 빌라 및 오피스텔 전세보증사고가 순손실을 발생시킨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보증과 분양보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등을 포함한 대위변제액은 6조1천억 원 수준으로 2023년보다 24% 가량 늘어났다.
지난해 대위변제액 가운데 전세보증 가입 세입자에게 내준 전세금은 4조 원에 달한다.
다만 지난해 순손실 규모는 2023년 순손실 규모인 3조8598억 원보다 줄었다.
지난해 5월부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의 담보인정비율을 100%에서 90%로 낮추면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올해 실적은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