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사들이 10월 한 달 동안 유조선을 모두 10척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조선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수주잔량은 한 달 새 더 줄어 13년2개월 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 |
||
▲ 선박 건조 중인 현대중공업 도크.<뉴시스> |
이탈리아가 크루즈선 3척을 수주해 35만CGT로 가장 많은 수주실적을 거뒀다.
뒤를 이어 한국이 삼성중공업 6척과 현대중공업 4척을 합쳐 모두 29만CGT를 수주했다. 중국은 15만CGT(11척), 일본은 3만CGT(1척)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
극심한 수주가뭄이 이어지면서 10월 말 기준 한국의 수주잔량은 2153만CGT로 2003년 8월 말(2077만CGT) 이후 13년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은 3344만CGT, 일본은 2028만CGT의 수주잔량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계적으로도 10월 말 기준 수주잔량은 9135만CGT로 2004년 12월 말의 8874만CGT 이래 11년10개월 만에 최저수준으로 줄었다.
올해 1~10월 세계선박 발주량은 962만CGT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9% 수준에 그쳤다.
같은 기간 중국이 339만CGT를 수주해 시장점유율 35.3%로 1위를 차지했고 한국과 일본은 각각 157만CGT(16.3%), 105만CGT(10.9%)를 수주해 점유율 2, 3위를 기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