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이 경영정상화 작업의 효과로 3분기에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아시아나항공이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5554억 원, 영업이익 1516억 원, 순이익 622억 원을 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9.4%, 233% 늘었다. 순이익은 지난해 3분기 순손실 622억 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 |
||
▲ 김수천 아시아나항공 사장. |
3분기에 국제여객부문은 유류할증료 미징수, 원화강세, 그리고 추석연휴 효과 등으로 내국인 출국수요가 늘어난 덕을 봤다.
특히 지난해 메르스 여파로 감소했던 중국과 일본 등 중단거리 입국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등 대부분의 노선에서 수요가 늘었다.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도 지난해 말 0.56배에서 올해 3분기 3.9배로 올랐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기준으로 이자보상배율은 1.9배였다. 일반적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5배 이상이면 빚을 갚을 능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뜻한다.
3분기 부채비율은 572.2%로 개선됐다. 아시아나항공이 올해 4월과 6월 금호터미널 지분 100%와 금호아시아나플라자사이공 지분 50% 등을 전량 매각해 차임금을 줄이면서 부채비율이 크게 떨어졌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올해 4분기 여객부문에서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부정기편 취항, 일본 오사카, 미야자키, 인도 델리 등 겨울 휴양지 중심의 증편을 통해 겨울 수요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