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업 회계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회계제도를 손보는 작업에 착수했다.
금융위원회는 17일 분식회계를 근절하고 적극적인 감사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회계제도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1차회의를 개최했다.
태스크포스는 한국상장회사협의회와 코스닥협회, 한국공인회계사회,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회계·법률전문가 등으로 구성됐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핵심감사제란 외부감사인이 기업의 회계감사를 진행하면서 중요하거나 위험하다고 판단한 부분에 대해 서술하는 제도다. 상장법인 감사인 등록제란 일정 요건을 충족한 회계법인이 상장법인 회계감사를 맡도록 한 것을 말한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경영진의 인식을 높이고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상장회사협의회는 내부감사와 회계관리 강화의 필요성를 언급하면서도 과도한 감사부담 증가에 대해 합리적인 조정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인회계사회는 감사인 선임제도 개선과 소신있는 감사환경 조성, 감사보고서 내용 충실화, 감사보수 현실화 방안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금감원은 분식회계 제재실효성을 높이고 탄력적 회계감리 실시, 회계법인 감독강화, 감독인력 확충 등 적극적 감독환경 조성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회계학회는 태스크포스 참석자들이 제시한 개선과제를 연구주제에 반영하고 분야별 체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경영 및 회계학 교수 12명이 연구에 참여한다.
이석란 금융위원회 공정시장과장은 “회계투명성 문제를 재검토하고 ‘2016 회계제도 개혁안’을 11월경 내놓겠다”며 “신속한 대안 마련을 위해 매 격주 단위로 태스크포스를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