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100만 원 소액생계비 대출을 받은 20대 4명 가운데 1명은 이자를 제때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불안과 생활비 부담 등이 겹치면서 소액의 이자조차도 납부하지 못한 청년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소액생계비 대출 20대 4명 중 1명 이자 못 내, 김희곤 "청년 지원 필요"

▲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소액생계비 대출 20대 4명 중 1명이 이자를 못 내고 있다. <김희곤 의원실>


21일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소액생계비 대출을 받은 20대(만 19세 포함)의 이자 미납률은 24.5%로 집계됐다.

이자 납입일이 도래한 20대 대출 8931건 중 정상 납입이 6581건, 미납이 2190건, 완제(모두 상환)가 160건이었다.

20대 이자 미납률은 전 연령 중 가장 높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대 미납률(14.1%) 대비 약 2배에 이른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자를 제때 상환하는 비율이 높았다.

같은 기간 60대와 70대 이상 대출자들의 이자 미납률은 각각 7.4%, 7.2%로 나타났다. 50대는 9.7%, 40대는 13.5%, 30대는 17.7%로 집계됐다.

소액생계비 평균 대출 금액인 61만 원에 대출 금리(연 15.9%)를 적용해 보면 첫 달 이자는 약 8천 원 수준이다.

하지만 20대라는 연령 특성상 직업이 아예 없거나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고금리에 생활비 부담마저 커지면서 청년층의 상환 여력 및 의지가 꺾인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이자 미납률이 상품 출시 초반 8%대에서 최근 14%대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해온 만큼 20대 미납률도 향후 더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희곤 의원은 “청년 빚 문제의 심각성과 절박함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소액생계비 대출의 지속 공급과 함께 채무조정, 취업 지원 등 연계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