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코웨이가 2분기 말레이시아와 미국 등 해외사업에 힘입어 시장의 전망을 뛰어넘는 호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하반기에는 해외사업 실적 개선에 힘입어 실적 반등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코웨이의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7만 원을 각각 유지했다.
11일 코웨이 주가는 4만3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코웨이는 2분기 말레이시아법인의 성장률이 반등했고 미국법인은 캐나다 산불의 수혜를 입었다”며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이다”고 파악했다.
코웨이는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00억 원, 영업이익 1879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2년 2분기보다 매출은 4.5%, 영업이익은 6.7% 늘어나는 것이다.
시장 전망치(컨센서스)와 비교하면 매출은 3%, 영업이익은 6% 높은 수준이다.
코웨이는 2분기 말레이시아법인의 공격적 마케팅과 캐나다 산불에 따른 미국법인의 공기청정기 판매 확대로 호실적을 낸 것으로 분석됐다.
코웨이는 말레이시아와 미국, 태국 등 해외사업 호조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코웨이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517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보다 11% 늘어나는 것이다. 이준희 기자
하반기에는 해외사업 실적 개선에 힘입어 실적 반등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됐다.
▲ 한화투자증권은 하반기부터 코웨이의 본격적 실적 반등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코웨이의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7만 원을 각각 유지했다.
11일 코웨이 주가는 4만3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코웨이는 2분기 말레이시아법인의 성장률이 반등했고 미국법인은 캐나다 산불의 수혜를 입었다”며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이다”고 파악했다.
코웨이는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00억 원, 영업이익 1879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2년 2분기보다 매출은 4.5%, 영업이익은 6.7% 늘어나는 것이다.
시장 전망치(컨센서스)와 비교하면 매출은 3%, 영업이익은 6% 높은 수준이다.
코웨이는 2분기 말레이시아법인의 공격적 마케팅과 캐나다 산불에 따른 미국법인의 공기청정기 판매 확대로 호실적을 낸 것으로 분석됐다.
코웨이는 말레이시아와 미국, 태국 등 해외사업 호조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코웨이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517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보다 11% 늘어나는 것이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