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증시가 7월 숨고르기 이후 강세장에 진입할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9일 “미국 증시가 명확한 강세 영역으로 접어들었다”며 “다만 7월은 숨고르기 과정을 거칠 것이다”고 말했다.
S&P 500지수 이동평균선이 올해 4월15일 정배열로 전환했다. 역사적으로 미국 증시는 약세장->S&P500 정배열 전환 -> 강세장 패턴을 보여 왔다.
또 주식시장의 불안 심리를 반영하는 VIX(변동성 지수)가 올해초 20에서 현재 9까지 떨어졌다.
김 연구원은 “기업이익 반등 전망에 힘입어 미국증시 강세 추세가 이어질 것이다”며 “기업이익 반등 전망의 근거는 빅테크, 반도체, 자본재 등 호실적을 이어가는 기업들의 존재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AI 기업들이 지난 1년 동안 Capex(설비 지출)을 지속적으로 늘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도체 등 중간재 수요가 빠르게 늘어났다.
김 연구원은 “결론적으로 빅테크와 기업들의 투자수요로 S&P500은 경기와 상관 없이 이익 개선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며 “투자 사이클은 1년만으로 그치는 경우가 없으므로 경기의 도움 없이 기업이익이 전 고점을 돌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강세장으로 들어가기 전인 7월에 미국 빅테크와 반도체주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미국 빅테크주로는 애플, 아마존, 알파벳(구글), 엔비디아, 메타(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가 있으며 반도체주로는 마이크론 등이 있다. 김태영 기자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9일 “미국 증시가 명확한 강세 영역으로 접어들었다”며 “다만 7월은 숨고르기 과정을 거칠 것이다”고 말했다.

▲ 미국 증시가 7월 숨고르기 이후 강세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 미국 빅테크 및 반도체 종목을 매수해두라는 의견이 나왔다.
S&P 500지수 이동평균선이 올해 4월15일 정배열로 전환했다. 역사적으로 미국 증시는 약세장->S&P500 정배열 전환 -> 강세장 패턴을 보여 왔다.
또 주식시장의 불안 심리를 반영하는 VIX(변동성 지수)가 올해초 20에서 현재 9까지 떨어졌다.
김 연구원은 “기업이익 반등 전망에 힘입어 미국증시 강세 추세가 이어질 것이다”며 “기업이익 반등 전망의 근거는 빅테크, 반도체, 자본재 등 호실적을 이어가는 기업들의 존재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AI 기업들이 지난 1년 동안 Capex(설비 지출)을 지속적으로 늘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도체 등 중간재 수요가 빠르게 늘어났다.
김 연구원은 “결론적으로 빅테크와 기업들의 투자수요로 S&P500은 경기와 상관 없이 이익 개선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며 “투자 사이클은 1년만으로 그치는 경우가 없으므로 경기의 도움 없이 기업이익이 전 고점을 돌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강세장으로 들어가기 전인 7월에 미국 빅테크와 반도체주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미국 빅테크주로는 애플, 아마존, 알파벳(구글), 엔비디아, 메타(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가 있으며 반도체주로는 마이크론 등이 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