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S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LS는 2022년 지분법 대상에서 연결 종속대상으로 바뀐 LSMnM의 실적이 부진하지만 다른 계열사는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IBK투자 "LS 목표주가 상향, 자회사 LSMnM 실적 부진에도 성장가치 부각"

▲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5일 LS가 자회사 LSMnM 실적 부진에도 성장가치가 부각되고 있다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5일 LS 목포주가를 기존 10만 원에서 11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24일 LS 주가는 8만5600원에 장을 마쳤다.

김 연구원은 “올해 LS의 100% 자회사 LSMnM을 바라보는 눈높이는 낮춰야 할 것 같다”며 “LSMnM의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치지만 올해가 투자 원년으로 내년에 성장 가치가 부각된다는 점에 이의가 없다”고 분석했다.

LS는 2022년 9월 일본 JKJS가 보유한 LSMnM의 지분 49.9%를 약 9300억 원에 매입해 완전자회사로 편입시켰다.

LSMnM은 세계 2위의 구리 제련 기업으로 구리 원석을 제련해 고순도 전기동을 생산한다. 또 생산 과정에서 나온 찌꺼기로는 금, 은, 팔라듐 등의 귀금속과 고순도 황산을 만든다.

LSMnM은 2023년 1분기 환 및 파생 관련 비용으로 순손실을 냈으며 올해 말까지 실적 기대치를 낮춰야할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1천억 원 정도 영업이익이 발생했던 황산은 시장 상황에 큰 변화가 있지 않고서는 지난해 거둔 이익을 올해 모두 반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팔라듐의 가격 약세도 영업이익이 기대에 못 미치게 될 이유 가운데 하나다.

제련수수료가 지난해 대비 35% 상승한 점과 공장가동이 정상화되면서 2분기에는 수익이 개선되겠지만 올해 LSMnM의 실적 개선세는 뚜렷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LS 기업가치에서 LSMnM의 비중이 높아 LSMnM의 실적에 따라 LS는 가치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김 연구원은 LS 기업가치의 20% 정도를 LSMnM 지분이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LSMnM은 지난해 좋아도 너무 좋았다”며 “올해 LSMnM은 부진하지만 다른 LS 계열사는 호조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