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원/달러 환율이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일본은행 총재 인선 결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시장의 해석이 달러화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미국 노동부는 14일 1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미국 1월 고용지표가 양호하게 나온 상황에서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물가 불안요인이 다시 한 번 확인된다면 달러화의 추가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다.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이후 미국 국채 금리가 추가로 상승할 때에는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 1300원선에 육박할 수 있는 것 전망됐다.
14일 예정된 일본은행 총재 인사도 원/달러 환율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도쿄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출신인 우에다 가즈오 전 일본은행 심의위원이 일본은행 총재에 선임된다면 일본은행의 초완화적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강화되면서 엔화가치는 반등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2월 셋째 주 원/달러 환율은 1230~130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조승리 기자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시장의 해석이 달러화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 원/달러 환율이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일본은행 총재 인선 결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노동부는 14일 1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미국 1월 고용지표가 양호하게 나온 상황에서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물가 불안요인이 다시 한 번 확인된다면 달러화의 추가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다.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이후 미국 국채 금리가 추가로 상승할 때에는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 1300원선에 육박할 수 있는 것 전망됐다.
14일 예정된 일본은행 총재 인사도 원/달러 환율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도쿄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출신인 우에다 가즈오 전 일본은행 심의위원이 일본은행 총재에 선임된다면 일본은행의 초완화적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강화되면서 엔화가치는 반등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2월 셋째 주 원/달러 환율은 1230~130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