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영토침범 재발시 군사적 적대행위를 중지하기로한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4일 윤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안보실,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무인기 대응 전략'을 보고 받은 뒤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북한에 경고, "영토 침범하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검토"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무인기 대응전략을 보고받고 북한의 영토침범이 재발하면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국토교통부-환경부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9·19 군사합의는 2018년 9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남과 북이 일체의 군사적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한 합의다. 

당시 남북은 △일체의 적대행위 중지 △비무장지대 평화지대화 △서해 해상 평화수역화 △교류협력 및 접촉 왕래 활성화를 위한 군사적 보장대책 강구 △군사적 신뢰구축 조치 강구 등 5개 분야에 걸친 합의사항을 합의문에 담았다.

북한이 도발을 이어가면서 여권에서 9.19 군사합의 재검토 주장이 나오기는 했었지만 윤 대통령이 직접 9.19 합의 효력 정지를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지난 12월26일에 있었던 북한의 무인기 도발과 관련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수석은 “윤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비례적 수준'을 넘는 압도적 대응 능력을 대한민국 국군에 주문한 것”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군 통수권자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확고한 안보대비태세를 강조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이종섭 국방부 장관에게 다양한 작전 수행을 위한 드론 부대 창설은 물론 소형 드론 대량 생산체계 구축도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감시 정찰과 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를 수행하는 '합동 드론부대'를 창설하고 탐지가 어려운 소형 드론을 연내에 대량 생산하는 체계를 구축하라”며 “스텔스 무인기도 연내 생산할 수 있도록 개발에 박차를 가하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