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주식 부자’ 상위 100명의 지분 가치가 지난 1년 동안 38조 원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3일 종가 기준으로 국내 상장사의 개별 주주별 보유주식과 지분가치를 조사한 결과 주식 부자 상위 100명의 지분 가치는 102조3084억 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지난해 12월30일 기준으로 주식 부자 100명의 지분가치는 140조1468명이었는데 이와 비교해 27.0% 줄어든 것이다.
올해 주식 부자 상위 100명 가운데 75명의 지분 가치는 지난해 말보다 하락했다. 나머지 25명만이 지분 가치가 상승했다.
지분 가치가 1조 원 이상인 주식 부자의 수는 지난해 말 29명에서 올해 23명으로 6명 감소했다.
특히 게임업계와 IT(정보기술)업계 분야의 주식을 많이 보유한 사람들의 지분 가치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보유한 지분 가치는 지난해 말 6조6515억 원이었지만 23일 기준 3조1560억 원으로 52.6%나 떨어졌다.
김대일 펄어비스 이사회 의장, 박관호 위메이드 이사회 의장,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이 보유한 지분 가치도 1년 동안 각각 69.7%, 80.9%, 61.9% 급락했다.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보유한 지분 가치 역시 1조 원 이상 감소했다.
삼성그룹 오너일가는 지분 가치를 기준으로 국내 주식 부자 1~4위를 차지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지분 가치는 23일 종가 기준으로 12조1949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보다 14.1% 감소했지만 1위 자리는 지켰다.
2위는 7조400억 원의 지분 가치를 보유한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이다. 지분 가치가 지난해 말보다 35.9% 떨어졌다.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이사 사장(3위, 5조8206억 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4위, 5조505억 원)이 뒤를 이었다.
삼성그룹 오너일가의 지분 가치는 1년 동안 모두 8조5949억 원 감소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에게 받은 유산과 관련해 상속세를 납부하기 위해 주식을 일부 처분한 데다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 등이 악재로 작용했다. 남희헌 기자
2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3일 종가 기준으로 국내 상장사의 개별 주주별 보유주식과 지분가치를 조사한 결과 주식 부자 상위 100명의 지분 가치는 102조3084억 원으로 집계됐다.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삼성그룹 오너일가는 지분 가치를 기준으로 국내 주식 부자 1~4위를 차지했다.
1년 전인 지난해 12월30일 기준으로 주식 부자 100명의 지분가치는 140조1468명이었는데 이와 비교해 27.0% 줄어든 것이다.
올해 주식 부자 상위 100명 가운데 75명의 지분 가치는 지난해 말보다 하락했다. 나머지 25명만이 지분 가치가 상승했다.
지분 가치가 1조 원 이상인 주식 부자의 수는 지난해 말 29명에서 올해 23명으로 6명 감소했다.
특히 게임업계와 IT(정보기술)업계 분야의 주식을 많이 보유한 사람들의 지분 가치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보유한 지분 가치는 지난해 말 6조6515억 원이었지만 23일 기준 3조1560억 원으로 52.6%나 떨어졌다.
김대일 펄어비스 이사회 의장, 박관호 위메이드 이사회 의장,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이 보유한 지분 가치도 1년 동안 각각 69.7%, 80.9%, 61.9% 급락했다.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보유한 지분 가치 역시 1조 원 이상 감소했다.
삼성그룹 오너일가는 지분 가치를 기준으로 국내 주식 부자 1~4위를 차지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지분 가치는 23일 종가 기준으로 12조1949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보다 14.1% 감소했지만 1위 자리는 지켰다.
2위는 7조400억 원의 지분 가치를 보유한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이다. 지분 가치가 지난해 말보다 35.9% 떨어졌다.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이사 사장(3위, 5조8206억 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4위, 5조505억 원)이 뒤를 이었다.
삼성그룹 오너일가의 지분 가치는 1년 동안 모두 8조5949억 원 감소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에게 받은 유산과 관련해 상속세를 납부하기 위해 주식을 일부 처분한 데다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 등이 악재로 작용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