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이노텍이 3D(3차원) 센싱모듈 사업에서만 올해 연간 매출에 필적하는 수준의 매출을 2030년쯤이면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7일 "앞으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이 메타버스 XR(확장현실) 헤드셋에 LG이노텍의 3D 센싱모듈을 탑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LG이노텍은 현재 글로벌 3D 센싱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90%를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지정학적 위험을 고려할 때 중국 광학업체가 3D 부품을 공급하기는 장기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2030년 10억 대 규모의 XR 헤드셋 센싱모듈 시장규모는 40조 원으로 예상된다"며 "시장점유율을 50%로만 가정해도 2030년 LG이노텍 3D 센싱모듈 매출은 20조 원으로 올해 연간 매출에 근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폭스콘 공장 생산차질 우려로 최근 3일 동안 9.5% 급락한 LG이노텍 주가는 조만간 반등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폭스콘 정저우 공장은 12월 중 정상가동을 시작해 연말부터 100% 가동할 수 있다고 밝혀 11월에 가동률의 바닥을 확인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12월부터 폭스콘 생산차질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허원석 기자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7일 "앞으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이 메타버스 XR(확장현실) 헤드셋에 LG이노텍의 3D 센싱모듈을 탑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LG이노텍이 3D(차원) 센싱모듈에서만 2030년 올해 연간 매출에 필적하는 수준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한 전시회에 참여한 LG이노텍 부스.
LG이노텍은 현재 글로벌 3D 센싱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90%를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지정학적 위험을 고려할 때 중국 광학업체가 3D 부품을 공급하기는 장기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2030년 10억 대 규모의 XR 헤드셋 센싱모듈 시장규모는 40조 원으로 예상된다"며 "시장점유율을 50%로만 가정해도 2030년 LG이노텍 3D 센싱모듈 매출은 20조 원으로 올해 연간 매출에 근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폭스콘 공장 생산차질 우려로 최근 3일 동안 9.5% 급락한 LG이노텍 주가는 조만간 반등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폭스콘 정저우 공장은 12월 중 정상가동을 시작해 연말부터 100% 가동할 수 있다고 밝혀 11월에 가동률의 바닥을 확인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12월부터 폭스콘 생산차질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