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설정된 해상완충구역에 또 다시 포탄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5일 오후 2시59분부터 북한 강원도 금강군 일대와 황해남도 장산곶 일대에서 동·서해상으로 포병사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방사포로 추정되는 포격이 130여 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
탄착지점은 북방한계선(NLL) 북방 해상완충구역이다.
이에 우리 군은 '9·19 군사합의 위반 및 즉각 도발 중단'에 관한 경고통신을 수 회 실시했다.
이날 북한의 포병 사격은 11월3일 강원도 금강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9·19 군사합의에 따른 완충구역 안에 80여 발을 쏜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이번 포격은 한국과 미국, 일본의 대북 제재를 향한 반발로 분석된다. 한미일 3국은 2일 북한 핵·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개인과 단체 등을 대상으로 한 제재를 각각 발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동·서해 해상완충구역 안 포병사격은 명백한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즉각 중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미국 사이 긴밀한 공조 아래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면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남형 기자
합동참모본부는 5일 오후 2시59분부터 북한 강원도 금강군 일대와 황해남도 장산곶 일대에서 동·서해상으로 포병사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방사포로 추정되는 포격이 130여 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

▲ 북한이 12월5일 동·서해상의 9·19 남북군사합의로 설정된 해상완충구역에 포탄 사격을 가했다. 사진은 2020년 3월21일 중앙TV가 공개한 훈련 모습. <연합뉴스>
탄착지점은 북방한계선(NLL) 북방 해상완충구역이다.
이에 우리 군은 '9·19 군사합의 위반 및 즉각 도발 중단'에 관한 경고통신을 수 회 실시했다.
이날 북한의 포병 사격은 11월3일 강원도 금강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9·19 군사합의에 따른 완충구역 안에 80여 발을 쏜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이번 포격은 한국과 미국, 일본의 대북 제재를 향한 반발로 분석된다. 한미일 3국은 2일 북한 핵·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개인과 단체 등을 대상으로 한 제재를 각각 발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동·서해 해상완충구역 안 포병사격은 명백한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즉각 중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미국 사이 긴밀한 공조 아래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면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