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건설이 건설현장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 바탕의 시각데이터 솔루션을 개발했다.
롯데건설은 유디엔에스와 공동개발한 ‘크랙뷰어’, 지와이네트웍스와 함께 만든 ‘스테이지’로 구성한 인공지능(AI) 바탕 시각데이터 솔루션을 내놓는다고 10일 밝혔다.
크랙뷰어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콘크리트의 머리카락 굵기 만한 미세한 균열을 식별하고 크기를 측정해 자동으로 균열을 관리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노동자가 직접 사다리 작업 등을 통해 균열을 확인해야 해 작업속도가 느리고 위험하기도 했다.
스테이지는 타워크레인이나 드론으로 촬영한 건설현장 사진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공사 진척도를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기술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시각데이터 솔루션을 통해 건설현장 공사 진척도 관리와 균열 관리 등 반복적 현장업무의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롯데건설은 앞으로도 현장 업무 과정 자동화기술을 개발해 생산성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롯데건설은 유디엔에스와 공동개발한 ‘크랙뷰어’, 지와이네트웍스와 함께 만든 ‘스테이지’로 구성한 인공지능(AI) 바탕 시각데이터 솔루션을 내놓는다고 10일 밝혔다.
▲ 건설현장 작업자들이 스마트폰으로 콘크리트 균열을 촬영하고 이를 바로 태블릿PC에서 확인하고 있다. <롯데건설>
크랙뷰어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콘크리트의 머리카락 굵기 만한 미세한 균열을 식별하고 크기를 측정해 자동으로 균열을 관리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노동자가 직접 사다리 작업 등을 통해 균열을 확인해야 해 작업속도가 느리고 위험하기도 했다.
스테이지는 타워크레인이나 드론으로 촬영한 건설현장 사진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공사 진척도를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기술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시각데이터 솔루션을 통해 건설현장 공사 진척도 관리와 균열 관리 등 반복적 현장업무의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롯데건설은 앞으로도 현장 업무 과정 자동화기술을 개발해 생산성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