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홈쇼핑이 자회사 현대렌탈케어 흑자전환에 힘입어 3분기 영업이익을 개선했다. 매출은 소폭 줄었다.
현대홈쇼핑은 2022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564억 원, 영업이익 341억 원을 거뒀다고 7일 공시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1.8% 줄었고 영업이익은 23.1% 늘었다.
순이익은 406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8.1% 감소했다. 순이익 감소는 지난해 3분기 현대HCN 매각 수익이 영업외 수익으로 반영된 데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됐다.
부문별로 보면 현대홈쇼핑의 취급고는 1조227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5% 증가했다. 여행·설치가구·의류·명품잡화 판매가 늘어난 데 힘을 받았다. 영업이익은 292억 원을 거뒀다. 송출료와 데이터방송 수수료가 늘면서 지난해 3분기보다 1.5% 감소했다.
현대L&C의 매출은 25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매출이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올해 국내외 건설시장이 부진한 영향을 받았다. 영업이익은 7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65% 줄었다. 환율 및 유가 인상 등 대외 환경이 악화한 탓이다.
현대렌탈케어는 매출 319억 원을 거뒀는데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6.1% 증가한 것이다. 장기약정 및 브랜드 상품 중심으로 매출이 늘었다. 영업이익은 42억 원을 내면서 흑자전환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렌탈 자산 원가와 폐기손실 비용 축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 김지효 기자
현대홈쇼핑은 2022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564억 원, 영업이익 341억 원을 거뒀다고 7일 공시했다.
▲ 현대홈쇼핑은 2022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564억 원, 영업이익 341억 원을 거뒀다고 7일 공시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1.8% 줄었고 영업이익은 23.1% 늘었다.
순이익은 406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8.1% 감소했다. 순이익 감소는 지난해 3분기 현대HCN 매각 수익이 영업외 수익으로 반영된 데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됐다.
부문별로 보면 현대홈쇼핑의 취급고는 1조227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5% 증가했다. 여행·설치가구·의류·명품잡화 판매가 늘어난 데 힘을 받았다. 영업이익은 292억 원을 거뒀다. 송출료와 데이터방송 수수료가 늘면서 지난해 3분기보다 1.5% 감소했다.
현대L&C의 매출은 25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매출이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올해 국내외 건설시장이 부진한 영향을 받았다. 영업이익은 7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65% 줄었다. 환율 및 유가 인상 등 대외 환경이 악화한 탓이다.
현대렌탈케어는 매출 319억 원을 거뒀는데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6.1% 증가한 것이다. 장기약정 및 브랜드 상품 중심으로 매출이 늘었다. 영업이익은 42억 원을 내면서 흑자전환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렌탈 자산 원가와 폐기손실 비용 축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