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꼽고 있는 헤지펀드 운용업을 직접 챙긴다.

NH투자증권은 22일 헤지펀드추진본부를 헤지펀드본부로 변경하고 대표이사 직속으로 재편했다. 국제금융전문가인 이동훈 프랍트레이딩(자기자본투자) 본부장이 헤지펀드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원규, NH투자증권 헤지펀드 운용업 직접 챙겨  
▲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
헤지펀드는 49명 이하의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아 주식과 채권 등에 투자하는 사모펀드다.

헤지펀드본부는 2개 부서에서 헤지펀드운용1부·헤지펀드운용2부·헤지펀드지원부·헤지펀드준법리스크부 등 4개 부서로 확대 개편됐다.

헤지펀드운용1부는 주식과 선물옵션 등 시장성 자산을, 헤지펀드운용2부는 주식과 채권 성격을 모두 보유한 상품에 투자하는 메자닌펀드 등 투자성 자산을 운용한다.

김 사장은 미래에셋대우, KB증권(가칭) 등 새로운 대형 경쟁사의 등장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헤지펀드 운용업을 제시했다.

김 사장은 3월 NH투자증권 정기주주총회에서 “NH투자증권은 미래에셋대우의 출범으로 ‘자기자본 1위’ 외형을 활용하기 어려워져 미래의 성장동력을 계속 찾아야 한다”며 “헤지펀드를 통해 기관투자자와 고액자산가에게 새로운 투자처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헤지펀드는 손실 위험이 큰 대신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어 비슷한 규모의 경쟁사보다 비교적 낮은 NH투자증권의 수익률 상승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NH투자증권은 1분기에 자기자본이익률(ROE) 1.91%를 기록했는데 이는 옛 대우증권(2.64%), 옛 미래에셋증권(2.80%), 삼성증권(2.43%), 현대증권(2.79%) 등보다 낮은 수준이다.

NH투자증권은 현재 국내 증권사 가운데 유일하게 헤지펀드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NH투자증권은 이르면 8월 초에 헤지펀드 운용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