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의 재무건전성이 연일 치솟고 있는 원/달러 환율 때문에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수출입은행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BIS비율(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비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의원 강준현 "달러 강세에 수출입은행 재무건전성 우려"

▲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수출입은행의 BIS비율(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비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14.8%였던 수출입은행의 BIS비율이 올해 6월 기준 14.1%로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이 급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용위험가중자산의 외화비중이 약 70%인 수출입은행의 BIS 비율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수출입은행의 전망자료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350원일 경우 BIS비율이 13.1%이고 1400원일 경우 12.8%까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수출입은행은 BIS비율을 13%이상으로 유지하도록 내부 관리목표를 세웠는데 이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수출입은행은 하반기부터 유럽과 북미 지역 2차전지 생산설비 지원사업(14억 달러), 동남아 지역 정유시설 현대화사업(10억 달러) 등 대규모 금융지원 사업들을 예정하고 있어 전망치보다 더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강 의원은 “신용위험가중자산의 외화비중이 높은 수출입은행이 고환율 상황에서 BIS비율 등 재무건전성이 낮아지는 상황이 우려스럽다”며 “수출입기업들의 원활한 금융지원을 위해 정부의 출자 확대, 수출입은행의 후순위채 발행 등 다양한 대책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