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에스씨엠생명과학이 급성췌장염 치료제 임상에서 중요한 평가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올해 3월 종료된 급성췌장염 줄기세포치료제 'SCM-AGH'의 임상1/2a상에서 유효성을 평가한 결과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1일 밝혔다.
1차 유효성 평가 변수는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을 말한다.
이번 임상의 1차 유효성 평가 변수는 치료제 투여 후 28일차 전산화단층촬영 중증도지수(CTSI), 치료제 투여 후 7일차 급성췌장염 장기부전 정도(MMS)였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2가지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에서 위약군 대비 시험군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하나인 C반응단백질(CRP) 수치에 관해서는 위약군보다 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C반응단백질은 체내 염증이 일어났을 때 생성되는 물질로 급성췌장염 예후를 판정하는 표지다.
SCM-AGH는 투여 후 중대한 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은 확인됐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있는 지수가 낮아지는 등 의약품의 효능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임상 데이터를 확보했다”며 “임상2a상에 이어 임상2b상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뒤 조건부 품목허가를 받아 조기 사업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은 에스씨엠생명과학의 임상 결과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1일 오전 10시 기준 에스씨엠생명과학 주가는 10만600원으로 전날보다 15%가량 떨어졌다. 임한솔 기자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올해 3월 종료된 급성췌장염 줄기세포치료제 'SCM-AGH'의 임상1/2a상에서 유효성을 평가한 결과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1일 밝혔다.
▲ 에스씨엠생명과학dl 급성췌장염 치료제 임상1/2a상의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1일 밝혔다.
1차 유효성 평가 변수는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을 말한다.
이번 임상의 1차 유효성 평가 변수는 치료제 투여 후 28일차 전산화단층촬영 중증도지수(CTSI), 치료제 투여 후 7일차 급성췌장염 장기부전 정도(MMS)였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2가지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에서 위약군 대비 시험군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하나인 C반응단백질(CRP) 수치에 관해서는 위약군보다 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C반응단백질은 체내 염증이 일어났을 때 생성되는 물질로 급성췌장염 예후를 판정하는 표지다.
SCM-AGH는 투여 후 중대한 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은 확인됐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있는 지수가 낮아지는 등 의약품의 효능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임상 데이터를 확보했다”며 “임상2a상에 이어 임상2b상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뒤 조건부 품목허가를 받아 조기 사업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은 에스씨엠생명과학의 임상 결과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1일 오전 10시 기준 에스씨엠생명과학 주가는 10만600원으로 전날보다 15%가량 떨어졌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