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제유가가 올랐다.
23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022년 10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3.74%(3.38달러) 상승한 배럴당 93.7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선물거래소의 2022년 10월물 브렌트유는 3.88%(3.74달러) 오른 배럴당 100.2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국제유가는 시장에 원유공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받으며 하루 만에 3%대 상승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의 감산 가능성 언급에 석유수출국기구(OPEC)이 산유량을 줄일 수 있다는 전망이 부각되며 올랐다”고 설명했다.
전날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해외언론과 인터뷰에서 “시장 변동성과 유동성 축소에 따라 석유수출국기구는 감산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우디 외에도 일부 석유수출국기구 회원 국가들 역시 감산을 지지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김 연구원은 “이날 달러화는 최근 급등에 따른 속도조절 과정이 이어지면서 소폭 하락했다”며 “달러가 약세를 보인 점도 국제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장상유 기자
23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022년 10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3.74%(3.38달러) 상승한 배럴당 93.7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23일 국제유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가능성이 부각되며 하루 만에 상승했다.
런던선물거래소의 2022년 10월물 브렌트유는 3.88%(3.74달러) 오른 배럴당 100.2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국제유가는 시장에 원유공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받으며 하루 만에 3%대 상승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의 감산 가능성 언급에 석유수출국기구(OPEC)이 산유량을 줄일 수 있다는 전망이 부각되며 올랐다”고 설명했다.
전날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해외언론과 인터뷰에서 “시장 변동성과 유동성 축소에 따라 석유수출국기구는 감산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우디 외에도 일부 석유수출국기구 회원 국가들 역시 감산을 지지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김 연구원은 “이날 달러화는 최근 급등에 따른 속도조절 과정이 이어지면서 소폭 하락했다”며 “달러가 약세를 보인 점도 국제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