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미군으로부터 돌려받은 용산기지 부지 활용방안 등을 반영한 용산공원 정비계획 변경안을 고시했다.

국토교통부는 용산공원 부분반환부지 활용과 관련한 국민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을 용산공원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10일 변경·고시했다고 밝혔다.
 
미군 용산기지 31% 반환 완료, "용산공원 조성사업 차질없이 추진"

▲ 국토교통부가 용산공원 부분반환부지 활용계획 등을 담은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안을 10일 고시했다. 사진은 대통령 집무실 인근 용산공원부지. <연합뉴스>


이번 종합기본계획은 2021년 12월 이후 세 차례에 걸쳐 미군으로부터 추가로 반환받은 부지에 관한 변경 사항을 반영했다.

현재 용산공원 부지는 장군숙소와 업무시설, 숙소부지를 비롯해 학교와 벙커, 야구장 부지, 체육관 부지 등 모두 76만4천㎡, 전체 용산기지의 약 31%가 반환됐다.

국토부는 부분반환부지는 전문성을 갖춘 공공기관이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운영하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부지에 있는 기존 건축물은 구조안정성과 공간활용계획, 역사적 가치 등을 고려해 활용기준을 마련한 뒤 전문가 자문을 거쳐 활용방향을 결정한다.

또 국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오염정화 이전이라도 토양 안정성 분석 및 환경 위해성 저감조치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길병우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이번 변경계획은 용산공원을 실제 경험한 국민의 의견을 기본계획에 반영한 것이다”며 “앞으로도 국민들과 소통하며 용산공원 조성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