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생활건강이 중국 봉쇄정책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의 여파로 2분기에도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LG생활건강은 2022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8627억 원, 영업이익 2166억 원을 거뒀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7.9%, 영업이익은 35.5% 각각 줄었다.
LG생활건강은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이 어려웠다”며 “3월 말부터 시작된 중국 봉쇄정책이 2분기 내내 중국 현지 사업에 큰 영향을 미쳤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며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다만 LG생활건강은 사업환경이 나빴던 올해 1분기와 비교하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2%, 23.4% 증가하는 등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사업별로 보면 화장품사업은 올해 2분기 매출 8530억 원, 영업이익 933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3.6% 줄었고 영업이익은 57.4% 크게 감소했다.
중국 내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며 2분기 중국 매출이 큰 타격을 입었다. 외출금지, 매장 영업 중단, 물류 출하 제한 등의 조치가 실적에 악영향을 줬다.
생활용품사업은 올해 2분기 매출 5434억 원, 영업이익 596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9.5%, 영업이익은 1.4% 늘었다.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으로 원가부담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음료사업은 올해 2분기 매출 4664억 원, 영업이익 637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9%와 10.0% 늘어났다. 건강과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로 칼로리 음료인 ‘코카콜라 제로’, ‘스프라이트 제로’와 저칼로리 음료 ‘몬스터 에너지 울프라’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정희경 기자
LG생활건강은 2022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8627억 원, 영업이익 2166억 원을 거뒀다고 28일 밝혔다.

▲ LG생활건강이 중국 봉쇄정책과 원자재 상승의 여파로 2분기에도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연합뉴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7.9%, 영업이익은 35.5% 각각 줄었다.
LG생활건강은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이 어려웠다”며 “3월 말부터 시작된 중국 봉쇄정책이 2분기 내내 중국 현지 사업에 큰 영향을 미쳤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며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다만 LG생활건강은 사업환경이 나빴던 올해 1분기와 비교하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2%, 23.4% 증가하는 등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사업별로 보면 화장품사업은 올해 2분기 매출 8530억 원, 영업이익 933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3.6% 줄었고 영업이익은 57.4% 크게 감소했다.
중국 내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며 2분기 중국 매출이 큰 타격을 입었다. 외출금지, 매장 영업 중단, 물류 출하 제한 등의 조치가 실적에 악영향을 줬다.
생활용품사업은 올해 2분기 매출 5434억 원, 영업이익 596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9.5%, 영업이익은 1.4% 늘었다.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으로 원가부담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음료사업은 올해 2분기 매출 4664억 원, 영업이익 637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9%와 10.0% 늘어났다. 건강과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로 칼로리 음료인 ‘코카콜라 제로’, ‘스프라이트 제로’와 저칼로리 음료 ‘몬스터 에너지 울프라’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