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신세계인터내셔날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 경제 상황과 사업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올해 2분기 좋은 실적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1일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상황이 신세계인터내셔날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며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수입 브랜드 매출 비중이 패션 55%, 코스메틱72%로 업계 내에서 수입 브랜드 매출 비중이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고환율에 힘입어 매출원가율도 지속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매출원가율은 매출에서 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일반적으로 매입 이후 3~6개월이 지난 시점에 상품을 판매한다. 그 사이 원화가치가 하락해 신세계인터내셔날은 환율 차이로 이득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정 연구원은 올해 2분기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모든 사업부문 이익율이 고르게 성장했다고 봤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3800억 원, 영업이익 341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12%, 영업이익은 29% 증가한 것이다.
견조한 수입 브랜드 수요와 보브, 지컷 등 국내 자체 브랜드의 약진으로 패션부문은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12%, 영업이익은 29%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화장품부문은 지난해 2분기에 비해 매출이 3% 늘고 영업이익이 11%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수입 브랜드의 연간 성장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이어지고 국내 브랜드도 수익성이 높아져 화장품부문 이익률은 8%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551억 원, 영업이익 127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37.6% 늘어나는 것이다. 정희경 기자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1일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상황이 신세계인터내셔날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며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수입 브랜드 매출 비중이 패션 55%, 코스메틱72%로 업계 내에서 수입 브랜드 매출 비중이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 신세계인터내셔날이 3고 경제 상황과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2분기 좋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고환율에 힘입어 매출원가율도 지속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매출원가율은 매출에서 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일반적으로 매입 이후 3~6개월이 지난 시점에 상품을 판매한다. 그 사이 원화가치가 하락해 신세계인터내셔날은 환율 차이로 이득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정 연구원은 올해 2분기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모든 사업부문 이익율이 고르게 성장했다고 봤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3800억 원, 영업이익 341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12%, 영업이익은 29% 증가한 것이다.
견조한 수입 브랜드 수요와 보브, 지컷 등 국내 자체 브랜드의 약진으로 패션부문은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12%, 영업이익은 29%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화장품부문은 지난해 2분기에 비해 매출이 3% 늘고 영업이익이 11%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수입 브랜드의 연간 성장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이어지고 국내 브랜드도 수익성이 높아져 화장품부문 이익률은 8%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551억 원, 영업이익 127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37.6% 늘어나는 것이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