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한 번도 겪어본 적이 없는 금융 리스크에 대비해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23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경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했던 오일쇼크 때와 유사하다고 보기도 하는데 전 세계 가치사슬이 얽혀 있어 훨씬 큰 위험이 닥쳐올 수 있다”며 “그야말로 미증유의 퍼펙트 스톰이 밀려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건전성 비율 규제 등 다양한 감독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금융사의 취약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사의 유동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원장은 “단기자금시장 및 회사채시장의 경색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사의 유동성 관리 실태점검을 강화하고 유동성 부족 가능성이 높은 금융사는 선제적으로 유동성을 확충해 나가도록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인상 충격으로 금융사의 신용손실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충분한 규모의 충당금을 적립해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
이 원장은 23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경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했던 오일쇼크 때와 유사하다고 보기도 하는데 전 세계 가치사슬이 얽혀 있어 훨씬 큰 위험이 닥쳐올 수 있다”며 “그야말로 미증유의 퍼펙트 스톰이 밀려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그는 “건전성 비율 규제 등 다양한 감독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금융사의 취약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사의 유동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원장은 “단기자금시장 및 회사채시장의 경색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사의 유동성 관리 실태점검을 강화하고 유동성 부족 가능성이 높은 금융사는 선제적으로 유동성을 확충해 나가도록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인상 충격으로 금융사의 신용손실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충분한 규모의 충당금을 적립해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