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T 주가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KT는 2022년 비통신사업에서 본격적으로 성과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KT 주가 상승 예상, "콘텐츠 데이터센터 클라우드에서 성과 기대"

▲ 구현모 KT 대표이사 사장.


김아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KT 목표주가를 4만8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신규 제시했다.

14일 KT 주가는 3만6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2022년은 KT가 본업인 통신사업의 성장 뿐만 아니라 비통신사업에서도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는 한 해가 될 것이다”며 “통신3사 가운데 KT의 비통신사업 성과가 가장 빠를 것이다”고 말했다.

CJENM과 파트너십을 맺은 콘텐츠사업과 ‘네트워크-데이터센터(IDC)-클라우드’ 역량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 데이터센터/클라우드사업에서 의미있는 실적을 올릴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데이터센터/클라우드사업부를 물적분할해 4월1일 KT클라우드를 설립한 것에 관해서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을 선점하는 데 효과적 전략으로 평가했다.

조직을 간소화하면서 신속한 의사결정 및 선제적 인재채용일 가능해진다는 이유에서다.

KT는 디지코(디지털플랫폼기업) 전환 전략을 통해 AI(인공지능), 로봇, 클라우드, 콘텐츠 등 비통신분야와 B2B(기업간 거래)사업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021년 약 40% 수준에서 2025년 5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 연구원은 KT는 본업인 통신사업도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바라봤다.

5G 가입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비용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김 연구원은 KT그룹 자회사들도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며 KT 실적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로 부진한 실적을 냈던 BC카드, KT에스테이트 등 자회사가 회복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들 자회사들은 2020년 1분기~2021년 1분기 분기평균 매출 750억 원을 올리는 데 그쳤는데 2021년 2분기부터 분기기준 매출은 1천억~1200억 원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KT는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5조8200억 원, 영업이익 1조8531억 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보다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10.8% 늘어나는 것이다.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