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왼쪽)과 정찬수 GSEPS 대표이사가 13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에너지사업 협력을 위한 기본합의서(HOA)'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LG화학 >
LG화학은 13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에너지사업 협력을 위한 기본합의서(HOA)’를 맺었다고 밝혔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 정찬수 GSEPS 대표이사 등이 이날 협약식에 참석했다.
LG화학과 GSEPS는 국내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목재 폐기물을 칩(chip) 형태로 만든 연료를 재생에너지 연료로 사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산림 자원의 직접적 에너지화가 아닌 소각·매립되는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이다. 유럽연합(EU)에서도 폐목재를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로 인정하고 있다.
우선 두 회사는 2025년까지 LG화학 여수공장의 폐목재로 산업용 증기와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합작발전소를 위한 사업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한다.
합작발전소가 설립되면 LG화학 석유화학 공장 및 단지 가동에 필요한 증기를 바이오매스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두 회사는 이를 통해 매년 40만 톤가량 규모의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전력거래소의 협조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직접 전력거래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 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모색하기로 했다.
노 본부장은 “이번 협력으로 넷제로(Net-Zero) 달성을 위한 친환경 에너지기반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모든 가치사슬(밸류체인)에서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해 친환경 시장을 선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GSEPS가 보유한 바이오매스 발전 등 친환경 에너지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LG화학의 넷제로 달성에 지속해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