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 반도체 파운드리공장 내부.
거시경제 리스크 확대에 따른 반도체 생산 원가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13일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올해 반도체 파운드리 가격을 최대 20% 인상하는 계획을 고객사들과 논의하고 있다.
가격 인상폭은 미세공정 등 적용되는 기술과 고객사에 따라 15~20% 수준에서 결정된다.
특히 최신 공정보다 기존의 오래된 미세공정에서 생산하는 반도체 생산 단가 인상폭이 상대적으로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 파운드리 단가 인상분은 하반기부터 반영되며 삼성전자는 이미 일부 고객사들과 가격 인상에 관련한 협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TSMC 등 다른 파운드리업체의 가격 인상 행렬에도 위탁생산 단가를 거의 높이지 않은 반면 올해는 이와 달라진 전략을 쓰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소재 공급 차질과 공급망 훼손,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위탁생산 단가를 높여야만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원가는 최근 들어 평균 20~30% 정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케이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TSMC는 이미 지난해부터 반도체 파운드리 단가를 20% 높였고 2023년부터 5~8% 수준의 추가 인상 계획을 최근 고객사들에 전달하고 있다.
대만 UMC도 2분기 들어 4% 수준의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반도체 파운드리 공급 부족으로 위탁생산업체들이 고객사와 가격 협상에 유리한 위치에 놓이고 있다는 점도 단가 인상을 추진할 수 있는 배경으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최근 콘퍼런스콜을 통해 “고객사들의 반도체 위탁생산 수요가 생산 능력을 웃돌고 있다”며 “공급 부족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