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유가상승 및 가동률 상향에 힘입어 정유부문 실적이 크게 늘면서 1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14일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 목표주가 41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거래일인 11일 SK이노베이션 주가는 19만7천 원에 장을 마쳤다.
황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1분기 영업이익 규모가 1조 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유부문 실적이 유가상승 및 정유 가동률 상향에 힘입어 초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SK이노베이션은 1분기 정유부문에서 매출 11조1천억 원, 영업이익 1조3천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4분기 정유부문 영업이익(2219억 원)보다 485% 늘어나는 것이다.
정유사 핵심 수익지표인 싱가폴 정제마진은 6.5달러로 지난해 4분기(6.1달러)보다 높아졌다. 중국이 베이징올림픽 전후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유설비 생산을 줄인 데 영향을 받았다.
정유설비 가동률도 80~85%로 지난해 4분기(68%)보다 높아져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관련 이익규모는 4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황 연구원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러시아 원유 수출이 줄어들 수 있어 국제유가는 100달러 이상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배터리부문 실적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황 연구원은 "2021년에 완공된 중국 옌청과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하면서 판매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며 "2022년 배터리부문 매출은 2021년보다 120%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영업손익 측면에서는 올해 4분기 최초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5조3624억 원, 영업이익 2조579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실적추정치보다 매출은 62.4%, 영업이익은 31.1%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은주성 기자]
유가상승 및 가동률 상향에 힘입어 정유부문 실적이 크게 늘면서 1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 김준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부회장.
14일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 목표주가 41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거래일인 11일 SK이노베이션 주가는 19만7천 원에 장을 마쳤다.
황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1분기 영업이익 규모가 1조 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유부문 실적이 유가상승 및 정유 가동률 상향에 힘입어 초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SK이노베이션은 1분기 정유부문에서 매출 11조1천억 원, 영업이익 1조3천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4분기 정유부문 영업이익(2219억 원)보다 485% 늘어나는 것이다.
정유사 핵심 수익지표인 싱가폴 정제마진은 6.5달러로 지난해 4분기(6.1달러)보다 높아졌다. 중국이 베이징올림픽 전후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유설비 생산을 줄인 데 영향을 받았다.
정유설비 가동률도 80~85%로 지난해 4분기(68%)보다 높아져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관련 이익규모는 4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황 연구원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러시아 원유 수출이 줄어들 수 있어 국제유가는 100달러 이상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배터리부문 실적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황 연구원은 "2021년에 완공된 중국 옌청과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하면서 판매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며 "2022년 배터리부문 매출은 2021년보다 120%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영업손익 측면에서는 올해 4분기 최초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5조3624억 원, 영업이익 2조579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실적추정치보다 매출은 62.4%, 영업이익은 31.1%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은주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