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가 중국업체들의 반도체산업을 육성하는 데 투입하는 지원금이 향후 10년 동안 175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은 위탁생산과 메모리반도체 등 삼성전자가 주력으로 하는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공격적 투자를 집행하며 빠르게 추격에 나서고 있다.
![]() |
||
▲ 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겸 시스템LSI사업부 사장. |
넷트러스트는 지금과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중국정부가 반도체산업 육성에 들이는 금액은 향후 10년 동안 175조 원 정도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이 현지 반도체기업에 지원한 금액은 최근 1년 사이에만 75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칭화유니그룹과 XMC 등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반도체 위탁생산시설과 3D낸드 등 메모리반도체 생산공장을 공격적으로 증설하고 있다. 또 설비와 기술 연구개발비에도 막대한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중국은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기업들을 뛰어넘겠다는 목표를 두고 반도체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빠르게 키워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 반도체 위탁생산과 메모리반도체 기술력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서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중국업체들이 현재와 같이 생산량을 공격적으로 늘려 가격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술력마저 확보할 경우 장기적으로 강력한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중국업체들의 반도체 생산량은 5년 뒤 삼성전자와 인텔을 합한 생산량의 2.5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업체들은 막대한 자본력을 등에 업고 생산시설과 기술인력을 확보하는 데 온힘을 쏟고 있다"며 "삼성전자를 생각보다 빠르게 추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