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LG화학 신용등급을 올렸다.
신용등급평가사 무디스는 LG화학의 신용등급과 선순위 무담보 채권 등급을 Baa1에서 A3로 한단계 상향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동시에 LG에너지솔루션의 등급도 Baa1에서 A3로 높였다.
유완희 무디스 부사장은 “LG화학의 등급 상향은 올해 1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로 발생한 거액의 수익금을 반영한 것이다”며 “상당한 자본지출에도 불구하고 향후 수년 동안 건전한 재무지표와 재무적 완충 장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통해 지난 1월 연결기준으로 약 12조7천억 원을 조달했다.
무디스는 LG화학이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사업 실적이 증가해 석유화학부문의 수익성 둔화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 사장은 “LG화학의 대규모 투자가 사업의 다각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반영했다”며 “빠르게 성장하는 배터리사업에서 매출 성장 가시성이 높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신용등급평가사 무디스는 LG화학의 신용등급과 선순위 무담보 채권 등급을 Baa1에서 A3로 한단계 상향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동시에 LG에너지솔루션의 등급도 Baa1에서 A3로 높였다.

▲ LG화학(위)과 LG에너지솔루션(아래) 로고.
유완희 무디스 부사장은 “LG화학의 등급 상향은 올해 1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로 발생한 거액의 수익금을 반영한 것이다”며 “상당한 자본지출에도 불구하고 향후 수년 동안 건전한 재무지표와 재무적 완충 장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통해 지난 1월 연결기준으로 약 12조7천억 원을 조달했다.
무디스는 LG화학이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사업 실적이 증가해 석유화학부문의 수익성 둔화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 사장은 “LG화학의 대규모 투자가 사업의 다각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반영했다”며 “빠르게 성장하는 배터리사업에서 매출 성장 가시성이 높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