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6년~2021년 서울 주택 외지인 매입 비중. <경제만랩>
9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내놓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서울 주택 매매 거래량 12만6834건 가운데 서울에 거주하지 않는 사람이 매입한 거래는 3만4373건으로 전체에서 27.1%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외지인의 매입 비중은 2017년 19.3%, 2018년 21.3%, 2019년 24.0%, 2020년 25.7%에 이어 2021년 27.1%로 5년 째 상승하고 있다.
서울에서 외지인 주택 매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강서구로 나타났다. 지난해 강서구 주택 매매 거래량 9583건 가운데 33.5%인 3214건이 외지인 거래였다.
이어 도봉구 32.8%, 구로구 32.1%, 용산구 31.8%, 관악구 31.0% 순으로 조사됐다.
외지인들의 서울 주택 매입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은 정비사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와 서울 주택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학습효과 때문으로 보인다.
경제만랩 관계자는 “똘똘한 한 채를 사겠다는 인식이 자리잡으며 지방에서는 서울로, 서울에서는 강남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며 “최근 집값이 꺾이고 있는 분위기에서도 외지인들의 서울 주택 매입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