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중앙회 모바일 플랫폼 '온(ON)뱅크'의 예·적금 총액이 출시 1년 11개월 만에 10조 원을 넘어섰다.
신협중앙회는 21일 기준 온뱅크의 예·적금 총액이 10조3744억 원을 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온뱅크는 비대면 조합원 가입과 출자금 계좌개설이 가능한 상호금융권 최초의 모바일플랫폼이다.
온뱅크는 매월 평균 6만여 명이 지속해서 유입돼 현재 가입자 130만 명을 돌파했다.
신협중앙회는 저율과세 혜택을 창구 방문없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온뱅크의 인기요인으로 꼽았다.
현재 온뱅크 예·적금 수신액의 34%에 해당하는 3조5405억 원이 저율과세상품으로 유입됐다.
이 밖에 급여이체 등 간단한 우대조건 만족 때 최대 0.6%의 우대이율을 제공하는 'e-파란적금', 하루 단위로 1년 기준 정기예탁금의 절반 수준 이자를 주는 파킹통장 '드리밍박스' 등의 인기도 높다고 신협중앙회는 설명했다.
이상윤 신협중앙회 디지털금융본부장은 "예·적금 간편이체부터 모바일 신속대출서비스, 공제상품 가입 및 청구까지 가능한 온뱅크에 '어부바' 온기를 더해 신협만의 디지털휴먼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
신협중앙회는 21일 기준 온뱅크의 예·적금 총액이 10조3744억 원을 보였다고 29일 밝혔다.

▲ 신협중앙회의 모바일 플랫폼 '온(ON)뱅크'. <신협중앙회>
온뱅크는 비대면 조합원 가입과 출자금 계좌개설이 가능한 상호금융권 최초의 모바일플랫폼이다.
온뱅크는 매월 평균 6만여 명이 지속해서 유입돼 현재 가입자 130만 명을 돌파했다.
신협중앙회는 저율과세 혜택을 창구 방문없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온뱅크의 인기요인으로 꼽았다.
현재 온뱅크 예·적금 수신액의 34%에 해당하는 3조5405억 원이 저율과세상품으로 유입됐다.
이 밖에 급여이체 등 간단한 우대조건 만족 때 최대 0.6%의 우대이율을 제공하는 'e-파란적금', 하루 단위로 1년 기준 정기예탁금의 절반 수준 이자를 주는 파킹통장 '드리밍박스' 등의 인기도 높다고 신협중앙회는 설명했다.
이상윤 신협중앙회 디지털금융본부장은 "예·적금 간편이체부터 모바일 신속대출서비스, 공제상품 가입 및 청구까지 가능한 온뱅크에 '어부바' 온기를 더해 신협만의 디지털휴먼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