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가파르게 성장하는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언 상장지수펀드시장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는데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테마형 상장지수펀드시장을 중심으로 맹추격에 나서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직전 거래일인 10월29일 종가를 기준으로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의 전체 순자산총액은 68조 원에 이른다.
상장지수펀드시장은 2020년 말 52조 원 규모였는데 10개월 만에 16조 원에 이르는 자금이 유입됐다. 2002년 3444억 원과 비교하면 200배 규모로 커진 셈이다.
삼성자산운용의 상장지수펀드 운용규모는 30조5천억 원으로 44%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 1위에 올라 있다.
2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2조9천억 원 규모의 상장지수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점유율은 33%정도다.
지난해 10월 말 삼성자산운용은 운용자산 규모 25조7천억 원으로 55%에 이르는 점유율을 확보했다. 1년 사이 삼성자산운용의 시장점유율은 11%포인트 감소했다.
반대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운용자산 규모는 11조3천억 원에서 1년 만에 2배로 뛴 데다 시장 점유율도 24%에서 33%로 증가했다.
삼성자산운용으로서는 5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확보한 압도적 시장지위를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두 회사는 최근 투자자들의 관심이 메타버스, 저탄소, 반도체 등 테마에 집중되고 있는 데 따라 관련 테마에 투자하는 테마형 상장지수펀드를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같은 테마에 투자하는 상품을 동시에 내놓은 데 따라 수익률이나 운용자산 총액 등 성과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된 만큼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0월13일 메타버스 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를 같은 날 출시한 데 이어 10월29일에도 기후변화 관련 저탄소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를 각각 내놓았다.
메타버스 테마상품을 살펴보면 순자산 규모 측면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1611억 원으로 1138억 원에 그친 삼성자산운용을 앞질렀다. 다만 수익률은 삼성자산운용이 21.81%로 19.72%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을 제쳤다.
10월29일 상장한 기후변화 관련 탄소저감 테마 상장지수펀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자산총액이 693억 원, 삼성자산운용은 494억 원가량이다. 상장 첫날 흥행성적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소폭 앞섰는데 두 상품 모두 첫날 1%대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이 외에도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각각 반도체, 미래차, 그린뉴딜, 2차전지 등 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같은 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는 결국 투자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데 그 안에서 더 높은 수익을 올린다면 차별화된 운용역량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테마에 투자하는 만큼 투자자들을 끌어모으기에도 용이하다.
상장지수펀드시장에서 점유율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테마형 상장지수펀드를 두고 더욱 치열하게 경쟁을 할 것으로 보이는 이유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안나 기자]
삼성자산운용언 상장지수펀드시장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는데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테마형 상장지수펀드시장을 중심으로 맹추격에 나서고 있다.

▲ 삼성자산운용(위쪽)과 미래에셋자산운용 로고.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직전 거래일인 10월29일 종가를 기준으로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의 전체 순자산총액은 68조 원에 이른다.
상장지수펀드시장은 2020년 말 52조 원 규모였는데 10개월 만에 16조 원에 이르는 자금이 유입됐다. 2002년 3444억 원과 비교하면 200배 규모로 커진 셈이다.
삼성자산운용의 상장지수펀드 운용규모는 30조5천억 원으로 44%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 1위에 올라 있다.
2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2조9천억 원 규모의 상장지수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점유율은 33%정도다.
지난해 10월 말 삼성자산운용은 운용자산 규모 25조7천억 원으로 55%에 이르는 점유율을 확보했다. 1년 사이 삼성자산운용의 시장점유율은 11%포인트 감소했다.
반대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운용자산 규모는 11조3천억 원에서 1년 만에 2배로 뛴 데다 시장 점유율도 24%에서 33%로 증가했다.
삼성자산운용으로서는 5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확보한 압도적 시장지위를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두 회사는 최근 투자자들의 관심이 메타버스, 저탄소, 반도체 등 테마에 집중되고 있는 데 따라 관련 테마에 투자하는 테마형 상장지수펀드를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같은 테마에 투자하는 상품을 동시에 내놓은 데 따라 수익률이나 운용자산 총액 등 성과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된 만큼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0월13일 메타버스 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를 같은 날 출시한 데 이어 10월29일에도 기후변화 관련 저탄소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를 각각 내놓았다.
메타버스 테마상품을 살펴보면 순자산 규모 측면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1611억 원으로 1138억 원에 그친 삼성자산운용을 앞질렀다. 다만 수익률은 삼성자산운용이 21.81%로 19.72%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을 제쳤다.
10월29일 상장한 기후변화 관련 탄소저감 테마 상장지수펀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자산총액이 693억 원, 삼성자산운용은 494억 원가량이다. 상장 첫날 흥행성적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소폭 앞섰는데 두 상품 모두 첫날 1%대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이 외에도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각각 반도체, 미래차, 그린뉴딜, 2차전지 등 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같은 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는 결국 투자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데 그 안에서 더 높은 수익을 올린다면 차별화된 운용역량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테마에 투자하는 만큼 투자자들을 끌어모으기에도 용이하다.
상장지수펀드시장에서 점유율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테마형 상장지수펀드를 두고 더욱 치열하게 경쟁을 할 것으로 보이는 이유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