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제유가 상승을 고려해 11월 중순부터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4일 정부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25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유류세 인하방안을 확정해 발표한다.
최근 정책점검회의에서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인하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은 뒤 시기와 인하폭 등을 구체화해 내놓는 것이다.
정부는 유류세를 15%까지 낮추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류세를 15% 인하하면 10월18~22일 전국 평균 휘발유가격인 리터당 1732원을 기준으로 휘발유 가격이 123원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경유 가격은 리터당 87원, LPG 가격은 30 원 각각 낮아질 수 있다.
유류세 인하기간은 11월 중순부터 동절기가 지날 때까지인 4~5개월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에 대한 할당관세율을 0%로 낮춰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현재 2~3% 수준인 할당관세율을 0%로 낮추면 가스요금 인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
24일 정부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25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유류세 인하방안을 확정해 발표한다.

▲ 정부는 이르면 25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유류세 인하방안을 확정해 발표한다.
최근 정책점검회의에서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인하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은 뒤 시기와 인하폭 등을 구체화해 내놓는 것이다.
정부는 유류세를 15%까지 낮추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류세를 15% 인하하면 10월18~22일 전국 평균 휘발유가격인 리터당 1732원을 기준으로 휘발유 가격이 123원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경유 가격은 리터당 87원, LPG 가격은 30 원 각각 낮아질 수 있다.
유류세 인하기간은 11월 중순부터 동절기가 지날 때까지인 4~5개월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에 대한 할당관세율을 0%로 낮춰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현재 2~3% 수준인 할당관세율을 0%로 낮추면 가스요금 인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